제 19장 PC의 관리 (컴퓨터 조립 - PC 조립 강좌)
안녕하세요
우헤헤 대마왕 인사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하나의 주제 PC의 관리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여러 방법의 관리가 있으니 잘 보시고 PC를 위해서 주기적으로 실행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PC 관리는 프로그램 관리와 하드웨어 관리로 나누어 집니다
보통 PC 고장은 하드웨어의 수리보다 프로그램의 오류로 인한 수리가 많습니다.
잘 조립된 PC의 경우 입니다. 잘못 조립된 PC는 하드웨어 고장이 더 많습니다. ㅎㅎ
운영체제와 프로그램 관리..
PC에 운영체제를 다시 설치한 후에는 PC는 설치 전보다 빨라 집니다.
그건 바로 프로그램 정리를 했기 때문입니다.
정리 않된 상자보다 정리 잘된 상자의 물건을 더 빨리 찾을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윈도우 오류는 엄청나게 많습니다.
도스 시대는 부팅 파일이 3개 있었고 그 외의 모든 프로그램은 각자의 기능만 할뿐 연결되지 않았었습니다.
전에는 개별적인 프로그램들이 모여 집합체를 이루었던 것이 이제는 윈도우라는 하나의 틀에 모든 프로그램을 묶어
연동을 시키는 방법으로 바뀌었습니다.
마우스를 이용하여 사용도 편하고 여러 프로그램을 한데 묶어서 사용 방법을 쉽게 바꾸었습니다. 딱딱한 텍스트 모드에
화려한 그래픽을 넣어 친숙하게 만들었으며 많은 사용자들이 어려운 PC를 쉽고 친숙하게 생각하게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그만큼 여러 부분들이 같이 한데 묶여 돌아가니 문제 또한 많아지기 시작했습니다.
많은 프로그램들이 각자 움직이는 것이아니라 서로 연동이 되어 상호작용을 하면서 오류 충돌들 또한 여러 프로그램이
설치되면서 남긴 찌꺼기 파일과 각종 쓸모없는 데이터로 인한 문제도 많아졌습니다 또한 드라이버 에러 보안 업데이트문제
필요없는 업데이트 바이러스 에드웨어 스파이웨어 백도어등으로 인해 정상적인 프로그램들이 엉겨서 에러를 만들어 내고
심지어 리부팅과 블루스크린 그리고 다운에 이르는 상황을 만들어 냅니다.
프로그램 오류란 언제나 고치기 보다는 다시 셋팅해 새것 처럼 만들고 느려지면 운영체제를 다시 설치해 빠르게 사용 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입니다. 어떤 경우는 엉망이 된 상자를 새 상자로 바꾸는 일도 있죠 ㅎㅎ
프로그램의 경우 않쓰는 프로그램은 지우시고 자주 않쓰는 프로그램의 경우도 지우고 나중에 다시 설치해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드의 여유는 하드의 전체 크기에 10%정도나 또는 10기가 정도의 여유 공간을 유지하여 데이터의 이동에
월활하게 해주어야 사용시에 느려지지 않습니다.
각종 프로그램의 경우 모든 프로그램이 마이크로 소프트에서 만드는 것이 아니므로 각종 에러가 있을수 있으며 기간이
지나면 그 에러를 찾아 문제가 없도록 패치를 내놓습니다. 그러니 모든 문제가 윈도우에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리고 바이러스나 에드웨어로 고장이 많이 생기니 V3 알약 어베스트 카스퍼스키 하우리등.. 여러 백신들이 공짜로 배포되니
꼭 설치하여 사용하시고 자주 검사를 해주시길 바랍니다.
그럼 언제 운영체제나 프로그램들을 다시 설치하는게 좋냐고 물으신다면 4~6개월 정도가 무난합니다.
또는 설치후 아 이제 좀 느린데라고 생각 하실때 그때 설치하시면 좋습니다.
좋은 컴을 여러 에러로 느리게 사용하신다면 참 안타까운 현실이 아닐수 없습니다.
여러 수리를 하다보면 손님들께서 가져오는 컴의 문제중 80%정도가 프로그램 에러로 인한 수리입니다.
모두 관리를 잘 하셔서 원활하게 PC가 돌아가도록 노력하셨으면 합니다.
프로그램의 경우 만든 사람 조차도 다른 프로그램과 충돌이 어디서 나는 지를 모르고 만드니 사용을 해보고 나서 나중에
개선을 할수 밖에 없습니다. 참 어렵죠. 프로그램이란 ㅎㅎ
하드웨어 관리..
하드웨어 관리란 간단합니다. 프로그램에 비하면 정말 쉽지만 누구도 잘 생각을 하지 않는 부분입니다.
모든 지구의 생물이 이부분에서는 해결 방안이 없습니다. 그건 바로 열과 마찰입니다.
하드웨어는 인간이 상상할수 없을 정도로 빠르게 움직입니다.
각종 팬들은 잘게는 분당 1000회 정도 회전을 하며 많게는 분당 3000회 이상을 돌기도합니다.
사람이 이렇게 돈다면 죽을수도 있습니다. 또한 정말 상상도 못하는 데이터를 이동 시킵니다.
초당 시피유가 처리하는 데이터는 현재 그래프상 무려 25기가 정도 까지도 가능합니다.
25기가 음. 그게 뭘까.. 그러니까 1초에 0과 1을
계산해 드리죠
1비트 * 8 = 1바이트
1바이트 + 1024 = 천 바이트
천 바이트 * 1000 = 1메가
1메가 바이트 * 1000 = 1000 메가
1000 메가 바이트는 = 1 기가
1기가 바이트 * 1000 = 1테라 입니다.
지금 현재는 약 2테라 정도의 하드가 나옵니다.
모든 데이터는 1과 0으로 움직입니다.
그럼 25기가 로 움직인다면 초당 25,000,000,000 입니다 바이트 여기에
곱하기 8 을 합니다 비트로 환산하면 초당 0과 1이 무려 200,000,000,000 개가 움직이죠.
이거 참 계산 힘들군요. 엄청난 속도 입니다.
스공짱입니다 위 계산이 맞을까 음.. 하여간 빠릅니다.
뭐 유기물과 무기물로 나뉘어서 구성상 무기물이 강하기는 하지만 그래도 회전한다는 것과 마찰은 역시 역상관 관계를 이룹니다
많이 돌고 많이 부딧칠수록 그만큼 내구성은 떨어지겠죠. 하드웨어 관리는 열관리와 먼지 관리로 볼수 있습니다.
일단 모든 분들이 처음 살때는 잘 관리 해줘야지 윈도우도 자주 설치해주고 먼지도 잘 털어주고 하지만 일단 6개월 1년이
넘어가면 그때부터 음.. 이제 뭐 지난 사양이고 중고고 귀찮고 자료도 정리도 않되고 그러다보니 점점 느려지는 것이죠.
시피유 쿨러와 그래픽카드 쿨러 파워 쿨러 케이스 쿨러 등등 여러 쿨러에 먼지가 끼고 먼지가 낀 쿨러에 구리스가 마르면서
마찰음이 들리기 시작합니다. 그럼 청소를 시작 하죠. 하지만 그때는 이미 쿨러가 망가진 것 입니다. 쿨러가 소리가 난다는 것은
쿨러 베어링에 구리스가 말렀다는 것이고 이미 때는 늦은것입니다.
또한 방열판에는 먼지가 수두룩하니 쌓이고 팬이 돌아도 방열판은 식지도 않고 먼지만 가득.. 당연히 열이 나겠죠.
또한 그래픽카드 메모리 슬롯 사이에 미세 먼지가 끼어 접촉불량을 일으키고 또는 잘못 먼지가 들어가면 쇼트가 일어납니다.
전기가 들어가거나 나가는 슬롯에 먼지가 끼어 전원이 역류하여 쇼트가 나서 타거나 또는 쇼트로 인해 보드 그래픽카드
메모리가 고장이 나는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이러니 언제나 청소는 4~6개월 정도되면 기본적으로 해주셔야 합니다. 모든 지구상의 물체는 아직까지 열에 민감합니다.
속도가 높으면 마찰이 동반하며 마찰은 곳 열과 상관관계를 가집니다. 그러니 열을 않 빼주면 고장이 나죠 ㅎㅎ
이러니 어찌 청소를 않해줄수 있겠습니까
제발 청소좀 해주시길 바랍니다
또한 담배 이거 무지 않좋습니다
일면 니코틴 때라고 하는데 이건 먼지를 털어도 타르와 먼지가 섞이는 지라 절때 털어도 털리지가 않으며
슬롯 사이에 니코틴이 들어가 이건 털어 내지도 못합니다. 또한 파워서플라이에 먼지가 상당히 들어가는데
보통 파워서플라이는 문제가 눈에 보이지 않으므로 보통 청소를 잘 못합니다. 심한경우 폭발합니다. 뻥.~~~ 아주 죽습니다 ㅎㅎ
파워서플라이는 외부에서 타공된 부분을 이용 에어건으로 불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니콘틴의 경우 불어도
먼지와 엉겨 잘 떨어지지 않습니다. PC의 청소의 경우 붓으로 털어주고 나중에 에어건이로 불어 먼지를 날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청소기를 이용해 흡입력으로 빨아주는 것도 좋지만 그것보다 언제나 붓의 모가 단단한 붓으로 털어주고 흡입하는 것보다
에어건으로 불어 먼지를 날려 주는 것이 좋습니다. 언제나 말씀 드리지만 담배를 피면서 PC를 사용하는 것은 PC의 수명을
적어도 30% 이상 단축 시키는 행위이자 PC을 오래 쓰지 않겠다는 생각을 가진것과 같습니다.
더불어 수리비가 많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고 담배를 PC 앞에서 피우시길 바랍니다.
천재지변(자연재해)에 의한 고장 관리
자연재해로 인한 고장도 있습니다
자연재해란 번개 , 침수, 누전, 과전류, 등의 예상치 못한 이유로의 고장입니다.
PC의 경우 언제나 외부에서 들어오는 습기와 과전류를 조심해야 합니다.
집에 전기 시설이 잘되있어 차단이 잘 된다면 문제가 없지만 그렇지 않다면 조심하셔야 합니다.
누전으로 인한 에러의 경우 보통 다른 집 보다 PC 케이스를 만졌을때 전기가 많이 흐르면 누전이 심한것 입니다.
이런 경우 잘못해서 쇼트가 날경우 과전류로 인해 보드 메모리 시피유가 고장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니 접지를 잘 해주어 잔류 전기를 빼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번개로 인한 고장이 예상외로 많습니다. 특히 여름철 비가 많이 내리는 경우 번개가 치게 되고 번개가 치면서
피뢰침이 주위에 없는 경우 전기가 전신주나 집으로 떨어져 전기선이나 통신선 또는 TV 안테너를 타고 들어와
과전류로 인해 보드 랜카드 TV수신카드 등이 나가며 심한 경우는 메모리 파워 하드등 내부에 모든 부품을 다 고장
내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심한 경우는 고장을 넘어 부품이 심하게 타는 경우도 발생하니 일기 예보에서
번개가 치는 날의 경우 파워선을 빼놓고 랜선이나 TV수신카드의 안테너 선등을 빼놓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저게 7년 동안 컴을 조립하고 수리하면서 많은 분들이 이와 같은 일들을 격어 수리를 하러 오신적이 많습니다.
그러니 특히 환절기나 비가 많이 내리는 여름의 경우 꼭 날씨를 보시고 주의 하시길 바랍니다.
언제나 관리를 잘해준 PC의 경우 남보다 1~2년 정도 더 사용이 가능합니다.
그러니 잘 관리해 주시고 쓰시길 바랍니다.
오늘은 PC 관리와 청소에 대해 말씀 드렸습니다
주인장 인사 드리며 들어가겠습니다 ㅎㅎ
즐거운 하루 되세요
읽어 주셔서 고맙습니다.
우헤헤 대마왕의 PC 이야기 입니다.
VICTREE.NET
VICTRE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