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 이야기/PC 조립 강좌

제 43장 조립의 이해. (컴퓨터 조립 - PC 조립 강좌)

우헤헤 대마왕 2010. 6. 1. 01:40
반응형

안녕하세요

우헤헤 대마왕 인사 드립니다.

이제 슬슬 기본 적으로 바탕을 깔았으니

슬슬 조립의 세계로 들어가 볼까 합니다. ㅎㅎ

그럼 즐거운 조립 시간이 되시기리 바라며 오늘부터

장대하고 광대한 조립의 세계로 빠져 봅시다 입니다. ㅎㅎ

 

조립이란 참 묘 합니다 

저도 매번 부품을 정하고 조립하고 하지만 언제나 걱정이 있습니다.

과연 내가 고른 부품이 어느 정도의 수명을 가지며 어느 정도나 사용이 가능할까 하는...

그런 생각을 자주 하게 됩니다. 

아무리 조립을 많이 해본 사용자 또한 기술자 또한 모든 조립이 100%의 만족감이나 완성도를

가질수는 없습니다. 왜냐 똑같은 부품 똑같은 방법으로 조립을 하여도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가끔 또는 자주 그런 일들이 있습니다.

PC조립에 취미를 가져서 PC 조립이 배우고 싶어서 PC 부품을 사서 PC조립을 해보려는 그런 일들...

기본적으로 조립에 어느 정도 지식을 가지고 있거나 또는 기술 습득에 익숙하거나 조금 만져 본 분들이라면

쉽게 배우는 것이 가능하리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난생 처음 보는 PC부품을 가지고 조립을 시도 한다면

많은 시간을 투자하여 천천히 조립을 시도 하셔야 합니다. 나름대로 여러 모로 까다롭기 때문입니다.

 

또한 PC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만남이기 때문에 조립만 한다고 하여서 사용이 가능한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PC라는 존재는 변화하는 무기체와 상상의 존재의 만남 이랄까 좀 그렇습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정밀하고도 오묘한 조합이라 생각하시는 편이 좋겠군요 ㅎㅎ

한마디로 지구인이 외계인과 조우를 한듯 한거죠 ㅎㅎ

그러므로 엄청난 힘을 내는 슈퍼 울트라 물건이 만들어 진것이라 생각됩니다.

상상을 초월한 그 무엇 바로 PC 또는 컴 이라 말합니다.

 

PC는 아래 여러 부분에서 설명을 드렸듯이 여러 부품의 조합입니다.

원하는 모든 기기를 붙여 만들수 있으며 그 기능 또한 다양합니다.

 

기본적인 PC는 다음과 같은 연결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매우 간단한 구조이며 굉장히 구조적으로 정규화 되어있습니다.

다만 역사가 벌써 20년이 넘게 만들어져 오는 기기이므로 부품의 종류와 역사가 다양할 뿐입니다.

 

그럼 각 부품이 담당하는 기능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PC  인간
연산력 CPU  뇌
연산보조 RAM  뇌
기억장치 HDD  뇌
표현 VGA - 그래픽 처리
2D, 3D 연산. 모니터 출력
 표현력 행동력 음성
전력 담당  POWER  심장
데이터 이동  마더보드 메인보드  신경계 뼈
몸체  케이스  외간


그럼 본체에 완전히 조립된 사항이 아닌 외부 연결로 보았을때의 연결 모습을 보여 드리겠습니다.

 

 
 자 PC는 다음과 같이 연결해 사용도 가능합니다. 아직 VGA를 설치하지 않았습니다.
 
 그래픽을 꽂고 뒤쪽 연결선을 다 끼웠습니다 마우스가 빠졌군요 ㅎㅎ
 
 테스트 화면으로 켜 보았습니다 부팅이 되었습닏 시모스 화면입니다

위사진들을 보시면 각 부위가 어디로 연결이 되는지 보실수 있습니다.

이렇게 보니까 조립이 좀더 쉬워지지 않나 생각해 봅니다 아닌가요?? 더 어려운가요

그럼 정리를 하여 다시 전체 적으로 아래 설명을 드려보겠습니다.

조립은 쉽고도 어려운 문제입니다 ㅎㅎ

 

조립의 순서

1, 보드에 시피유와 시피유 쿨러를 조립한다, 시피유 쿨러 전원을 연결해 준다

 

2, 메모리를 끼운다

 

3, 케이스에 파워를 넣는다

 

4, 케이스에 보드 백페널을 꽂는다

 

5, 보드를 케이스에 넣기전 스페이서를 확인한 후 스페이서를 알맞게 끼운다

 

6,케이스 전면에서 나오는 파워스위치, 리셋, 하드LED, 파워LDE, 전면 USB, 전면 사운드 등을 연결한다

 

7, 시디롬을 케이스에 끼운다

 

8,  하드를 케이스에 끼운다

 

9, 사타케이블을 보드와 연결한다 시디롬 하드 케이스 E-SATA를 연결한다 또는 하드나 시디롬이 구형의 경우

    IDE 케이블을 연결 한다

 

10, 그래픽 카드를 설치한다

 

11, 케이스에 쿨러전원을 확인후 꽂는다

 

12. 그외에 연결부가 있다면 찾아서 조립한다

 

이러한 순서에 의해 조립이 기본적으로 완료가 됩니다.

 

순서를 잘 지켜야 조립이 편합니다.

모든 순서를 꼭 지켜야 되는 것은 아니지만 오래 많이 조립한 제가 권해드리는 방식입니다.

조립이 힘들고 쉽고는 작업의 순서를 잘 지키고 얼마나 많이 조립해 보았느냐가 조립의 완성도를 좌우합니다.

또한 부품의 선택도 중요합니다.

 

그럼 앞으로 조립에 대해 글을 올리려 합니다. 

잘 보시고 모르시는 부분이 있으시면 문의 주시길 바랍니다.

읽어 주셔서 고맙습니다.

그럼 오늘 하루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ㅎㅎ


우헤헤 대마왕의 PC 이야기 입니다.
www.VICTREE.NET
www.VICTREE.CO.KR
(컴퓨터 - PC 조립 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