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우헤헤 대마왕의 인사드립니다.
그럼 오늘은 어떻게 하드웨어가 변해 왔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간단한 내용으로 지금 현재 바뀐 하드웨어의 변천사를 이야기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뭐 자세하게 가자면 각 규격 모양 속도등 이야기 하여야 할것이 많지만
그것을 알고있다 하여 모든 하드웨어의 성능을 다 안다고는 할수 없습니다.
다만 어떻게 변해 왔는지를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부품의 변화 과정
시피유
인텔
- 423소켓 - 478소켓 - 775소멧 - 1366소켓 - 1156 소켓
AMD
-소켓A - 462소켓 - 754소켓 - 939소멧 - AM2- AM2+ - AM3
-Super Socket 7 • Slot A • Socket A • Socket 754 • Socket 939 • Socket 940 • Socket AM2 • Socket F • AM2+ • AM3
메모리
sdram - ddr1 - ddr2 - ddr3
보드
인텔 보드칩셋
815 -845 - 865 - 915 - 925 - 945 - 945C - 965 - 975 - X38 - P35 - P35 - P43 -P45 - X48 - X58 - P55 - H55 - H57
AMD
nForce 220 / 415 / 420 · nForce2 · nForce3 · nForce4 · nForce 500 ( (NVIDIA) nF 560 · nForce 600 · nForce 700
- ATI 690G - 770 - 780 - 790 - 785 -
하드
ide - sata1 - sata2
모터하드에서 메모리하드로의 전화환
메모리하드 SSD
ide 케이블 종류 : 33 - 66 - 100 - 133
ide 하드속도 - 4200 - 5400 - 7200 - 전송속도 : 50~60
sata1 , sata2 하드속도 - 5400 - 7200 -10000 - 전송속도 : 60~80
SSD 메모리 하드 - 전송속도 : 120 ~ 250
그래픽
PCI --- AGP --- PCI EX
파워
- 보드 시피유 전원 일체형 20핀 방식 - 시피유 4핀 보드 20핀 방식 - 시피유 8핀 보드 24핀 방식
- 그래픽 전원 4핀 방식 - 그래픽 전원 6핀 방식 - 그래픽 전원 6핀 2쌍방식
usb
usb1.0 -- usb2.0
아래 참고 사항을 보시면 거의 중요한 규격에 대한 정보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참 여기저기 많이 뒤지고 다녀야 가능하군요
아래 규격과 상세 내용을 정리 하였습니다
인텔 AMD 소켓 방식 변화와 판매 년도
Year of introduction
Year of EOL
CPU families
Package
Pin count
Pin pitch
Bus speed
Notes
name
DIP
1970s
Still available
Intel 8086
DIP
40
2.54mm
5/10MHz
Intel 8088
PLCC
?
Still available
Intel 80186
PLCC
68, 132
1.27mm
6-40MHz
Intel 80286
Intel 80386
Socket 1
1989
?
Intel 80486
PGA
169
?
?
Socket 2
?
?
Intel 80486
PGA
238
?
?
Socket 3
1991
?
Intel 80486
PGA
237
?
?
Socket 4
?
?
Intel Pentium
PGA
273
?
?
Socket 5
?
?
Intel Pentium
PGA
320
?
?
AMD K5
IDT WinChip C6
IDT WinChip 2
Socket 6
?
?
Intel 80486
PGA
235
?
?
Socket 7
1994
?
Intel Pentium
PGA
321
?
50-66MHz
Intel Pentium MMX
AMD K6
Super Socket 7
1998
?
AMD K6-2
PGA
321
?
66-100MHz
AMD AMD K6-III
Rise mP6
Cyrix MII
Socket 8
1995
?
Intel Pentium Pro
PGA
387
?
60-66MHz
Slot 1
1997
?
Intel Pentium II
Slot
242
?
66-133MHz
Celeron (Covington, Mendocino)
Pentium II (Klamath)
Intel Pentium III
Pentium III (Katmai)- all versions
Pentium III (coppermine)
Slot 2
1998
?
Intel Pentium II Xeon
Slot
330
?
100-133MHz
Socket 463/
?
?
NexGen Nx586
PGA
463
?
?
Socket NexGen
Socket 499
?
?
Alpha 21164A
Slot
587
?
?
Slot A
1999
?
AMD Athlon
Slot
242
?
100MHz
Slot B
?
?
Alpha 21264
Slot
587
?
?
Socket 370
1999
?
Intel Pentium III
PGA
370
1.27mm[2]
66-133MHz
Intel Celeron
VIA Cyrix III
VIA C3
Socket 462/
2000
?
AMD Athlon
PGA
462
?
100-200MHz
Socket A
AMD Duron
AMD Athlon XP
AMD Athlon XP-M
AMD Athlon MP
AMD Sempron
Socket 423
2000
?
Intel Pentium 4
PGA
423
1mm[3]
400 MT/s (100 MHz)
Willamette core only
Socket 478/
2000
?
Intel Pentium 4
PGA
478
1.27mm[4]
400-800 MT/s (100-200 MHz)
Socket N
Intel Celeron
Intel Pentium 4 EE
Intel Pentium M
Socket 495
2000
?
Intel Celeron
PGA
495
1.27mm[5]
?
PAC418
2001
?
Intel Itanium
PGA
418
?
133MHz
Socket 603
2001
?
Intel Xeon
PGA
603
1.27mm[6]
400-533 MT/s (100-133 MHz)
PAC611
2002
?
Intel Itanium 2
PGA
611
?
?
HP PA-8800, PA-8900
Socket 604
2002
?
Intel Xeon
PGA
604
1.27mm[7]
400-1066 MT/s (100-266 MHz)
Socket 754
2003
?
AMD Athlon 64
PGA
754
1.27mm[8]
200-800MHz
AMD Sempron
AMD Turion 64
Socket 940
2003
?
AMD Opteron Athlon 64 FX
PGA
940
1.27mm[9]
200-1000MHz
Socket 479
2003
?
Intel Pentium M
PGA
479[10]
?
400-533 MT/s (100-133 MHz)
Intel Celeron M
Socket 939
2004
11/2008
AMD Athlon 64
PGA
939
1.27mm[11]
200-1000MHz
Support of Athlon 64 FX to 1 GHz
AMD Athlon 64 FX
Support of Opteron limited to 100-series only
AMD Athlon 64 X2
AMD Opteron
LGA 775/
2004
?
Intel Pentium 4
LGA
775
1.09mm x 1.17mm[12]
1600MHz
Socket T
Intel Pentium D
Intel Celeron
Intel Celeron D
Intel Pentium XE
Intel Core 2 Duo
Intel Core 2 Quad
Intel Xeon
Socket 563
?
?
AMD Athlon XP-M
PGA
563
?
?
Socket M
2006
?
Intel Core Solo
PGA
478
?
533 - 667 MT/s (133-166 MHz)
For notebook platform
Intel Core Duo
Replaces Socket 479
Intel Dual-Core Xeon
Intel Core 2 Duo
LGA 771/
2006
?
Intel Xeon
LGA
771
1.09mm x 1.17mm[13]
1600 MHz
Socket J
Socket S1
2006
?
AMD Turion 64 X2
PGA
638
1.27mm[14]
200-800MHz
Socket AM2
2006
?
AMD Athlon 64
PGA
940
1.27mm[15]
200-1000MHz
Replaces Socket 754 and Socket 939
AMD Athlon 64 X2
Socket F
2006
?
AMD Athlon 64 FX
LGA
1207
1.1mm[16]
?
Replaces Socket 940
AMD Opteron
Socket AM2+
2007
?
AMD Athlon 64
PGA
940
1.27mm[17]
200-2600MHz
Separated power planes
AMD Athlon X2
Replaces Socket AM2
AMD Phenom
AM2+ Pkg. CPU's can work in Socket AM2
AM2 Pkg. CPU's can work in Socket AM2+
Socket P
2007
?
Intel Core 2
PGA
478
533-1066 MT/s (133-266 MHz)
For notebook platform
Replaces Socket M
Socket 441
2008
?
Intel Atom
PGA
441
?
400-667MHz
LGA 1366/
2008
?
Intel Core i7
LGA
1366
4.8gt/s-6.4gt/s
Replaces server-oriented Socket J (LGA 771) in the entry level.
Socket B
Intel Core i9
Socket AM3
2009
?
AMD Phenom II
PGA
941[18]
1.27mm[19]
200-3200MHz
Separated power planes
AMD Athlon II
Replaces Socket AM2+
AMD Sempron
AM3 Pkg. CPU's can work in Socket AM2/AM2+
Sempron 140 Only
Socket 1156
2009
?
Intel Core i5
LGA
1156[20]
?
?
Socket 1567/
?
?
Intel Xeon
LGA
1567[20]
?
?
Socket LS
인텔칩
(인텔) X58 | (인텔) P55 | (인텔) H55 |
(인텔) P45 | (인텔) G41 | (인텔) G31 |
(AMD) 785G | (AMD) 780G | (AMD) 770 |
(NVIDIA) GeF-8300 | (NVIDIA) GeF-7025 + nF 630a | (NVIDIA) GeF-6150 + nF 430 |
(인텔) NM10 | (인텔) X58 | (인텔) X48 |
(인텔) X38 | (인텔) P55 | (인텔) H57 |
(인텔) H55 | (인텔) P45 | (인텔) P43 |
(인텔) Q45 | (인텔) G45 | (인텔) G43 |
(인텔) G41 | (인텔) B43 | (인텔) P35 |
(인텔) G35 | (인텔) Q35 | (인텔) G33 |
(인텔) P31 | (인텔) G31 | (인텔) P965 |
(인텔) G965 | (인텔) Q965 | (인텔) i975X |
(인텔) i955X | (인텔) i946GZ | (인텔) i945GZ |
(인텔) i945GT | (인텔) i945GC | (인텔) i945G |
(인텔) i945GM | (인텔) i945PL | (인텔) i945P |
(인텔) i925XE | (인텔) i925X | (인텔) i915GV |
(인텔) i915GM | (인텔) i915GL | (인텔) i915G |
(인텔) i915PL | (인텔) i915P | (인텔) i875P |
(인텔) i865GV | (인텔) i865G | (인텔) i865PE |
(인텔) i855GME | (인텔) i848P |
AMD CHIP
(AMD) 790GX
(AMD) 790X
(AMD) 785G
(AMD) 780V
(AMD) 780D
(AMD) 780G
(AMD) 770
(AMD) 760G
(AMD) 740G
(AMD) 690V
(AMD) 690G
(AMD) 570X CrossFire
(AMD) 580X CrossFire
(AMD) 480X CrossFire
(ATi) Xpress 1250
(ATi) Xpress 3200 CrossFire
(ATi) Xpress 200 CrossFire
(ATi) Xpress 200
(AMD) 8151
(AMD) 8132
(AMD) 8131
(AMD) 8111
(NVIDIA) nF 980a SLi
(NVIDIA) nF 790i Ultra SLi
(NVIDIA) nF 790i SLi
(NVIDIA) nF 780a SLi
(NVIDIA) nF 780i SLi
(NVIDIA) nF 750i SLi
(NVIDIA) GeF-9400
(NVIDIA) GeF-9300
(NVIDIA) GeF-8300
(NVIDIA) GeF-8200
(NVIDIA) GeF-8100
(NVIDIA) GeF-7150 + nF 630i
(NVIDIA) GeF-7100 + nF 630i
(NVIDIA) GeF-7050 + nF 630a
(NVIDIA) GeF-7050 + nF 610i
(NVIDIA) GeF-7050PV
(NVIDIA) GeF-7025 + nF 630a
(NVIDIA) nF 750a SLi
(NVIDIA) nF 720D
(NVIDIA) nF 720a
(NVIDIA) nF 680a SLi
(NVIDIA) nF 680i LT SLi
(NVIDIA) nF 680i SLi
(NVIDIA) nF 650i Ultra
(NVIDIA) nF 650i SLi
(NVIDIA) nF 630a
(NVIDIA) nF 590 SLi
(NVIDIA) nF 570 SLi
(NVIDIA) nF 570 Ultra
(NVIDIA) nF 560 SLI
(NVIDIA) nF 560
(NVIDIA) nF 550
(NVIDIA) nF 520 LE
(NVIDIA) nF 520
(NVIDIA) nF 500 SLI
(NVIDIA) nF 500 Ultra
(NVIDIA) nF 500
(NVIDIA) GeF-6150LE + nF 410
(NVIDIA) GeF-6150SE + nF 430
(NVIDIA) GeF-6150 + nF 430
(NVIDIA) GeF-6100 + nF 430
(NVIDIA) GeF-6100 + nF 410
(NVIDIA) GeF-6100 + nF 405
(NVIDIA) GeF-6100 + nF 400
(NVIDIA) Q-NVS 210S + nf 430
(NVIDIA) nF4-SLi x16
(NVIDIA) nF4-SLi
(NVIDIA) nF4-Ultra
(NVIDIA) nF4
(NVIDIA) nF4-4X
그래픽 카드 칩셋
라데온 HD 5970
라데온 HD 5870
라데온 HD 5770
라데온 HD 5750
라데온 HD 4860
라데온 HD 4670
라데온 HD 5970
라데온 HD 5870
라데온 HD 5850
라데온 HD 5770
라데온 HD 5750
라데온 HD 4890
라데온 HD 4870 X2
라데온 HD 4870
라데온 HD 4860
라데온 HD 4850
라데온 HD 4830
라데온 HD 4770
라데온 HD 4730
라데온 HD 4670
라데온 HD 4650
라데온 HD 4550
라데온 HD 4350
라데온 HD 3870
라데온 HD 3850
라데온 HD 3650
라데온 HD 3470
라데온 HD 3450
라데온 HD 2900Pro
라데온 HD 2900XT
라데온 HD 2900GT
라데온 HD 2600XT
라데온 HD 2600Pro
라데온 HD 2400XT
라데온 HD 2400Pro
라데온 X1950XTX
라데온 X1950XT
라데온 X1950Pro
라데온 X1950GT
라데온 X1950
라데온 X1900XTX
라데온 X1900XT
라데온 X1900GT
라데온 X1800XT
라데온 X1800XL
라데온 X1900
라데온 X1800GTO
라데온 X1650XT
라데온 X1650Pro
라데온 X1650GT
라데온 X1650
라데온 X1600XT
라데온 X1600Pro
라데온 X1550
라데온 X1300XT
라데온 X1300Pro
라데온 X1300LE
라데온 X1300
라데온 X1050
라데온 X850XT
라데온 X850Pro
라데온 X800XT
라데온 X800XL
라데온 X800SE
라데온 X800Pro
라데온 X800GTO
라데온 X800GT
라데온 X800
라데온 X700SE
라데온 X700Pro
라데온 X700LE
라데온 X700
라데온 X600XT
라데온 X600Pro
라데온 X600
라데온 X550XT
라데온 X550SE
라데온 X550
라데온 X300SE
라데온 X300
라데온 9800XT
라데온 9800SE
라데온 9800Pro
라데온 9800
라데온 9700Pro
라데온 9700
라데온 9600XT
라데온 9600SE
라데온 9600Pro
라데온 9600
라데온 9550
라데온 9250
라데온 9200SE
라데온 9200
라데온 7500
라데온 7000
FirePro
FireGL
FireMV
Rage 시리즈
NVIDIA 칩셋
지포스 GTX295
지포스 GTX275
지포스 GTX260
지포스 GTS250
지포스 GT240
지포스 9600GT
지포스 GTX295
지포스 GTX285
지포스 GTX280
지포스 GTX275
지포스 GTX260
지포스 GTS250
지포스 GT240
지포스 GT220
지포스 G210
지포스 9800GTX+
지포스 9800GTX
지포스 9800GX2
지포스 9800GT
지포스 9600GT
지포스 9600GSO 512
지포스 9600GSO
지포스 9500GT
지포스 9400GT
지포스 9300GS
지포스 8800Ultra
지포스 8800GTX
지포스 8800GTS
지포스 8800GT
지포스 8800GS
지포스 8600GTS
지포스 8600GT
지포스 8500GT
지포스 8400GS
지포스 8300GS
지포스 7950GX2
지포스 7950GT
지포스 7900GTX
지포스 7900GTO
지포스 7900GT
지포스 7900GS
지포스 7800GTX
지포스 7800GT
지포스 7800GS
지포스 7600GT
지포스 7600GS
지포스 7500LE
지포스 7300GT
지포스 7300GS
지포스 7300LE
지포스 7200GS
지포스 7100GS
지포스 6800Ultra
지포스 6800XT
지포스 6800GT
지포스 6800GS
지포스 6800LE
지포스 6800
지포스 6600GT
지포스 6600LE
지포스 6600
지포스 6500
지포스 6200TC
지포스 6200LE
지포스 6200
지포스MX 4000
지포스FX 5900ZT
지포스FX 5900XT
지포스FX 5900
지포스FX 5700VE
지포스FX 5700V
지포스FX 5700LE
지포스FX 5700
지포스FX 5600XT
지포스FX 5600
지포스FX 5500
지포스FX 5200
지포스 PCX 5900
지포스 PCX 5750
지포스 PCX 5300
지포스4 MX 440
지포스2 MX 400
지포스3 Ti 550
지포스3 Ti 500
지포스3 Ti 200
쿼드로CX
쿼드로FX
쿼드로4
쿼드로2
쿼드로
USB 규격
USB 0.7: 1994
USB 0.8: 1994년 12월 출시
USB 0.9: 1995년 4월 출시
USB 0.99: 1995년 8월 출시
USB 1.0 후보 버전: 1995년 11월 출시
USB 1.0
1.5 Mbit/초 (Low speed), 12Mbit/초 (Full speed)가 제공된다.
USB 1.0: 1996년 1월 출시
USB 1.1: 1998년 9월 출시
USB 2.0
USB 2.0: 2000년 4월 출시
최대 480 Mbit/초 (Hi-Speed) 속도를 제공한다.
USB 3.0SS(Super Speed)라는 명칭으로 사용되며 마이크로소프트와 인텔 등의 회사가 현재 개발 완료되었다.
최대 5Gbps의 속도를 낼 것이며, USB 1.0, 1.1, 2.0등과 호환된다고 한다.
2008년 11월 17일 USB3.0 규격(Rev. 1.0)이 발표되었으며 2010년 경 출시될 예정이다.
최대 속도는 4.8Gbps이며 USB 2.0 케이블을 USB 3.0 포트에는 연결할 수 있으나, USB 3.0 케이블을 USB 2.0 포트에 연결할 수 없는 구조이다. (즉, USB 2.0 기기를 지원한다는 의미)
전압은 5V로 동일하나, 버스 전류가 900mA(USB2.0의 경우 500mA)로 늘어난다. 휴대기기의 충전 시간 등이 단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ASUS, Gigabyte 등 여러 회사에서 USB 3.0을 지원하는 메인보드를 발표했으나, 인텔의 P55 칩셋이 이를 지원하지 못해 별도의 컨트롤러가 내장된 방식이다. 따라서 대역폭이 다소 떨어지며 완전하게 이 문제를 극복하지 못한 상태였으나, VIA에서 USB 3.0 칩셋을 발표해 이 칩셋을 사용할 경우 정상적인 지원이 가능하다. CES2010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PCI
PCI 버스(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Bus)는 컴퓨터 주기판에 주변 장치를 부착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컴퓨터 버스의 일종이다. 장치는 다음 두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
주기판 위에 바로 붙는 IC 형태 - PCI 스펙에서는 이러한 형태를 평면 장치(planar device)라고 부른다. |
소켓에 꽂아 쓰는 확장 카드 형태 - 사용자 입장에서 흔히 눈에 띄는 형태이다. |
PCI 버스는 오늘날, PC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버스이다. 표준적인 확장 버스 역할 분야에서는 예전의 ISA 버스, VESA 로컬 버스 등을 PCI 버스가 대체해 버렸다. 이 밖에도 다른 여러 형태의 컴퓨터에서도 PCI 버스는 쓰이고 있다. |
PCI 버스는 PCI 익스프레스 등 다른 기술에 의해 서서히 대체 |
카드 32 비트, 33MHz (리비전 2.0) |
64 비트, 33MHz (리비전 2.0) |
32 비트, 66MHz (3.3V 전용, 리비전 2.1) |
64 비트, 66MHz (3.3V 전용, 리비전 2.1) |
슬롯32 비트, 5V (데스크톱 컴퓨터 메인보드에 가장 흔함) |
32 비트, 3.3V (거의 쓰이지 않음) |
64 비트, 5V (덜 일상회되어 있으나, 초기의 서버 메인보드에서 찾을 수 있음) |
64 비트, 3.3V (PCI-X가 등장하기 전의 서버 메인보드에서 가장 흔함 |
AGP
가속 그래픽 포트(고급 그래픽 포트, 또는 줄여서 AGP)는 고속의 점대점 채널로, 그래픽 카드가 컴퓨터의 메인보드에 장착된다. 주로 3D 컴퓨터 그래픽의 가속에 도움을 준다. 2004년~2007년 동안 AGP는 기술적으로 더 나은 PCI 익스프레스로 대체.
AGP의 버전
AGP 1.0 규격에는 1배속과 2배속, AGP 2.0 규격에는 4배속, AGP 3.0 규격에는 8배속이 정의되어 있다.
AGP 1배속
32비트 채널, 동작 속도 66MHz, 신호 전압 3.3V, 최대 데이터 전송률 266MB/s - PCI 버스 최대 데이터 전송률 133MB/s의 2배
AGP 2배속
32비트 채널, 동작 속도 66MHz, 신호 전압 3.3V, 최대 데이터 전송률 533MB/s - DDR(Double data rate) 적용
AGP 4배속
32비트 채널, 동작 속도 66MHz, 신호 전압 1.5V, 최대 데이터 전송률 1066MB/s(1GB/s) - QDR(Quad data rate) 적용
AGP 8배속
32비트 채널, 동작 속도 66MHz, 신호 전압 0.8V, 최대 데이터 전송률 2133MB/s(2GB/s) - ODR(Octa data rate) 적용, 3.3V 지원 중단으로 AGP 1, 2배속 그래픽카드 사용 불가능
PCI-EX
PCI 익스프레스(PCI Express)는 2002년 PCI SIG가 책정한 입출력을 위한 직렬 구조의 인터페이스이며 인텔 주도하에 만들어졌다. 서적이나 문서에서는 PCIe로 표기하는 경우도 많다. 이 표기는 PCI SIG 웹 사이트에서도 쓰이고 있다. PCI-X와는 다른 규격이며 오랫동안 3D 그래픽 카드를 군림했던 AGP를 대체.
규격
물리 규격
선로
총 핀 수
주요 절반 구분핀 수
길이
주요 절반 구분핀 길이
x1
36
14
25 mm
7.65 mm
x4
64
42
39 mm
21.65 mm
x8
98
76
56 mm
38.65 mm
x16
164
142
89 mm
71.65 mm
RAM
DDR SDRAM
DDR SDRAM은 컴퓨터에 쓰이는 메모리 집적 회로 계열이다. 클럭 주파수를 높이지 않고도 SDR SDRAM에 비해 대역폭이 거의 두 배나 늘어났다.
JEDEC는 DDR SDRAM의 속도에 대한 표준을 두 가지로 지정하였다. 첫 규격은 메모리 칩에 대한 것이고, 두 번째 규격은 메모리 모듈에 대한 것이다. DDR-SDRAM이 더 나중에 나온 DDR2 SDRAM에 압도당하면서 더 오래된 버전은 DDR1-SDRAM으로 일컫게 되었다.
규격
표준 이름
메모리 클럭
순환 주기
입출력 버스 클럭
초당 데이터 전송량
모듈 이름
최고 전송률
DDR-200
100 MHz
10 ns[1]
100 MHz
200,000,000
PC-1600
1600 MB/초
DDR-266
133 MHz
7.5 ns
133 MHz
266,000,000
PC-2100
2100 MB/초
DDR-300
150 MHz
6.67 ns
150 MHz
300,000,000
PC-2400
2400 MB/초
DDR-333
166 MHz
6 ns
166 MHz
333,000,000
PC-2700
2700 MB/초
DDR-400
200 MHz
5 ns
200 MHz
400,000,000
PC-3200
3200 MB/초
DDR2 SDRAM
주된 이점은 외부 데이터 버스를 DDR SDRAM의 두 배 만큼 빠르게 동작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점은 개선된 버스 시그널링을 통해 수행된다. DDR2 메모리는 DDR 메모리와 같은 클럭을 가졌으므로 같은 대역을 제공하지만 레이턴시가 꽤 높기 때문에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규격
표준 이름
메모리 클럭
순환 주기
입출력 버스 클럭
초당 데이터 전송량
모듈 이름
최고 전송률
DDR2-400
100 MHz
10 ns
200 MHz
400,000,000
PC2-3200
3200 MB/초
DDR2-533
133 MHz
7.5 ns
266 MHz
533,000,000
PC2-4200
4266 MB/초
PC2-43001
DDR2-667
166 MHz
6 ns
333 MHz
667,000,000
PC2-5300
5333 MB/초
PC2-54001
DDR2-800
200 MHz
5 ns
400 MHz
800,000,000
PC2-6400
6400 MB/초
DDR2-1066
266 MHz
3.75 ns
533 MHz
1,066,000,000
PC2-8500
8533 MB/초
DDR3 SDRAM
전자 공학에서 DDR3 SDRAM은 컴퓨터와 다른 디지털 회로 장치에서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는 데 쓰이는 램 기술이다. 디램 가운데 하나인 SDRAM계 기술의 일부이며, 이전 기술인 DDR2 SDRAM 제품보다 동작속도, 전력소모 등이 뛰어나다. 삼성전자가 2005년 업계최초로 개발하였다.
DDR3의 주된 이점은 입출력 버스를 메모리 셀의 속도보다 4배나 빠르게 동작할 수 있다는 점이며, 이로써 이전의 메모리 기술보다 더 빠른 버스 속도를 구현할 수 있다. 다만 더 빠른 버스 속도와 스루풋은 레이턴시를 늘리는 결과를 낳아 전반적인 속도가 떨어질 수 있다. 또한, DDR3은 512 메가비트부터 8 기가비트까지의 칩 용량을 표준으로 지정해 놓고 있다. 따라서 최대 16 기가바이트의 메모리 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규격
표준 이름
메모리 클럭
순환 주기
입출력 버스 클럭
초당 데이터 전송률
모듈 이름
최대 전송률
DDR3-800
100 MHz
10 ns
400 MHz
800,000,000
PC3-6400
6400 MB/초
DDR3-1066
133 MHz
7.5 ns
533 MHz
1,066,000,000
PC3-8500
8533 MB/초
DDR3-1333
166 MHz
6 ns
667 MHz
1,333,000,000
PC3-10600
10667 MB/초[1]
DDR3-1600
200 MHz
5 ns
800 MHz
1,600,000,000
PC3-12800
12800 MB/초
여러 각종 규격
컴퓨터 버스 규격
ISA 8비트/4.77 MHz
38.18 Mbit/초
4.77 MB/초
ISA 16비트/8.33 MHz
133.33 Mbit/초
16.67 MB/초
HP-Precision Bus
23 MB/초
EISA 8-16-32비트/8.33 MHz
320 Mbit/초
32 MB/초
VME64 32-64비트
400 Mbit/초
40 MB/초
NuBus 10MHz
400 Mbit/초
40 MB/초
MCA 16-32비트/10 MHz
660 Mbit/초
66 MB/초
NuBus90 20MHz
800 Mbit/초
80 MB/초
SBus 32비트/25 MHz
800 Mbit/초
100 MB/초
PCI 32비트/33 MHz
1066.66 Mbit/초
133.33 MB/초
HP GSC-1X
142 MB/초
SBus 64비트/25 MHz
1600 Mbit/초
200 MB/초
PCI 익스프레스 (x1 link)
2500 Mbit/초
312.5 MB/초
HP GSC-2X
256 MB/초
PCI 64비트/33 MHz
2133.33 Mbit/초
266.66 MB/초
PCI 32비트/66 MHz
2133.33 Mbit/초
266.66 MB/초
AGP 1x
2133.33 Mbit/초
266.66 MB/초
AGP 2x
4266.66 Mbit/초
533.33 MB/초
PCI 64비트/66 MHz
4266.66 Mbit/초
533.33 MB/초
PCI 64비트/100 MHz
6399.99 Mbit/초
799.99 MB/초
PCI-X DDR 16비트
4266.66 Mbit/초
533.33 MB/초
PCI 익스프레스 (x4 link)
10000 Mbit/초
1250 MB/초
AGP 4x
8533.33 Mbit/초
1066.66 MB/초
PCI-X 133
8533.33 Mbit/초
1066.66 MB/초
PCI-X QDR 16비트
8533.33 Mbit/초
1066.66 MB/초
InfiniBand single 4X
10.00 Gbit/초
1.25 GB/초
AGP 8x
17.066 Gbit/초
2.133 GB/초
PCI-X DDR
17.066 Gbit/초
2.133 GB/초
PCI 익스프레스 (x8 link)
20 Gbit/초
2.5 GB/초
PCI 익스프레스 (x16 link)
40 Gbit/초
5 GB/초
PCI-X QDR
34.133 Gbit/초
4.266 GB/초
하이퍼트랜스포트 (800 MHz, 16-pair)
51.2 Gbit/초
6.4 GB/초
하이퍼트랜스포트 (1 GHz, 16-pair)
64 Gbit/초
8 GB/초
PCI 익스프레스 2.0 (x32 link)
80 Gbit/초
10 GB/초
하이퍼트랜스포트 (2.6 GHz, 32-pair)
166.4 Gbit/초
20.8 GB/초
외부 기억장치 접속 규격
SCSI 1
12.0 Mbit/초
1.5 MB/초
PIO 모드 0
26.4 Mbit/초
3.3MB/초
PIO 모드 1
41.6 Mbit/초
5.2MB/초
PIO 모드 2
66.4 Mbit/초
8.3MB/초
고속 SCSI 2
80 Mbit/초
10 MB/초
PIO 모드 3
88.8 Mbit/초
11.1MB/초
PIO 모드 4
133.3 Mbit/초
16.7MB/초
Fast Wide SCSI 2
160 Mbit/초
20 MB/초
울트라 DMA ATA 33
264 Mbit/초
33 MB/초
울트라 Wide SCSI 40
320 Mbit/초
40 MB/초
울트라 DMA ATA 66
528 Mbit/초
66 MB/초
Ultra-2 SCSI 80
640 Mbit/초
80 MB/초
Serial Storage Architecture SSA
640 Mbit/초
80 MB/초
울트라 DMA ATA 100
800 Mbit/초
100 MB/초
Fibre Channel 1GFC (1.0625 GHz)
850 Mbit/초
106.25 MB/초
울트라 DMA ATA 133
1.064 Gbit/초
133 MB/초
시리얼 ATA (SATA-150)
1.2 Gbit/초
150 MB/초
Ultra-3 SCSI 160
1.28 Gbit/초
160 MB/초
Fibre Channel 2GFC (2.1250 GHz)
1.7 Gbit/초
212.50 MB/초
시리얼 ATA (SATA-300)
2.4 Gbit/초
300 MB/초
Serial Attached SCSI
3.0 Gbit/초
300 MB/초
Ultra-320 SCSI
2.56 Gbit/초
320 MB/초
Fibre Channel 4GFC (4.2500 GHz)
3.4 Gbit/초
425.00 MB/초
시리얼 Attached SCSI 2
6.0 Gbit/초
600 MB/초
Ultra-640 SCSI
5.12 Gbit/초
640 MB/초
주변기기 접속 규격
시리얼 RS-232C 보통
9.6 kbit/초
960 B/초
시리얼 8250 UART 최대
19.2 kbit/초
1.92 kB/초
시리얼 16450 UART PC/AT 호환 최대
19.2 kbit/초
1.92 kB/초
MIDI
31.25 kbit/초
시리얼 16550A UART PC/AT호환 최대
115.2 kbit/초
11.52 kB/초
애플 데스크톱 버스
125 kbit/초
시리얼 RS-232C PC/AT호환 최대
230.4 kbit/초
23.04 kB/초
시리얼 16650 UART PC/AT호환 최대
460.8 kbit/초
46.08 kB/초
시리얼 16950 UART PC/AT호환 최대
460.8 kbit/초
46.08 kB/초
시리얼 16750 UART PC/AT호환 최대
921.6 kbit/초
92.16 kB/초
시리얼 16850 UART 최대
921.6 kbit/초
92.16 kB/초
시리얼 Hayes ESP 최대
921.6 kbit/초
92.16 kB/초
USB 저속
1.536 Mbit/초
192 kB/초
Parallel (SPP)
2.88288 Mbit/초
360.36 kB/초
페러럴 (Centronics)
8.0 Mbit/초
1.0 MB/초
시리얼 RS-422 최대
10.0 Mbit/초
1.25 MB/초
페러럴 (바이트)
11 Mbit/초
1.369863 MB/초
USB 완전 속도
12.0 Mbit/초
1.5 MB/초
시리얼 16950 UART 최대
15 Mbit/초
1.5 MB/초
페러럴 (ECP)
20 Mbit/초
2.5 MB/초
페러럴 (니블)
25.4 Mbit/초
3.174603 MB/초
시리얼 EIA-485 최대
35.0 Mbit/초
3.5 MB/초
FireWire (IEEE 1394) 100
98.304 Mbit/초
12.288 MB/초
파이어와이어 (IEEE 1394) 200
196.608 Mbit/초
24.576 MB/초
페러럴 (EPP)
266.666666 Mbit/초
33.333333 MB/초
파이어와이어 (IEEE 1394) 400
393.216 Mbit/초
49.152 MB/초
USB 고속
480 Mbit/초
60 MB/초
파이어와이어 (IEEE 1394b) 800
786.432 Mbit/초
98.304 MB/초
파이어와이어 (IEEE 1394b) 1600
1572.864 Mbit/초
196.608 MB/초
eSATA
2.4 Gbit/초
300 MB/초
파이어와이어 (IEEE 1394b) 3200
3.145728 Gbit/초
393.216 MB/초
무선 통신 규격
IrDA-Control
72 kbit/초
9 kB/초
IrDA-SIR
115.2 kbit/초
14 kB/초
802.15.4 (2.4 GHz)
250 kbit/초
31.25 kB/초
블루투스 1.1
1 Mbit/초
125 kB/초
블루투스 2.0+EDR
3 Mbit/초
375 kB/초
IrDA-FIR
4 Mbit/초
500 kB/초
무선랜 규격
IEEE 802.11 legacy 0.125
2 Mbit/초
250 kB/초
RONJA 프리 소스 광 무선
10.00 Mbit/초
1.25 MB/초
802.11b DSSS 0.125
11 Mbit/초
1.375 MB/초
802.11b+ 비표준 DSSS 0.125
44.0 Mbit/초
5.5 MB/초
802.11a 0.75
54.00 Mbit/초
6.75 MB/초
802.11g DSSS 0.125
54.00 Mbit/초
6.75 MB/초
802.11n
540 Mbit/초
67.5 MB/초
휴대 전화 통신규격
WiDEN
'
GSM CSD
2.4 to 14.4 kbit/초
300 to 1800 B/초
HSCSD 업스트림
14.4 kbit/초
1800 B/초
HSCSD 다운스트림
43.2 kbit/초
5.4 kB/초
GPRS 업스트림
28.8 kbit/초
3.6 kB/초
GPRS 다운스트림
57.6 kbit/초
7.2 kB/초
EDGE (type 1 MS)
0.2368 Mbit/초
29.6 kB/초
EDGE (type 2 MS)
0.4736 Mbit/초
59.2 kB/초
EDGE Evolution (type 1 MS) 다운스트림
1.184 Mbit/초
148 kB/초
GSM (type 1 MS) 업스트림
0.4736 Mbit/초
59.2 kB/초
GSM (type 2 MS) 다운스트림
1.8944 Mbit/초
236.8 kB/초
GSM (type 2 MS) 업스트림
0.9472 Mbit/초
118.4 kB/초
UMTS 다운스트림
1.92 Mbit/초
240 kB/초
HSDPA 다운스트림
1.8 MBit/초 to 14.4 Mbit/초
225 kB/초 to 1.8 MB/초
HSUPA 업스트림
5.76 Mbit/초
720 kB/초
HSOPA 다운스트림
100 Mbit/초
12,500 kB/초
LTE (2X2 MIMO) 다운스트림
173 Mbit/초
21,625 kB/초
LTE (2X2 MIMO) 업스트림
58 Mbit/초
7,250 kB/초
LTE (4X4 MIMO) 다운스트림
326 Mbit/초
40,750 kB/초
LTE (4X4 MIMO) 업스트림
86 Mbit/초
10,750 kB/초
CDMA2000 1xRTT 다운스트림
0.153 Mbit/초
19 kB/초
CDMA2000 1xRTT 업스트림
0.153 Mbit/초
19 kB/초
1xEV-DO Rel.0 다운스트림
2.4576 Mbit/초
307.2 kB/초
1xEV-DO Rel.0 업스트림
0.153 Mbit/초
19 kB/초
1xEV-DO Rev. A 다운스트림
3.1 Mbit/초
396.8 kB/초
1xEV-DO Rev. A 업스트림
1.8 Mbit/초
230.4 kB/초
1xEV-DO Rev. B 다운스트림
73.5 Mbit/초
9200 kB/초
1xEV-DO Rev. B 업스트림
27 Mbit/초
3375 kB/초
UMB (2X2 MIMO) 다운스트림
140 Mbit/초
17,500 kB/초
UMB (2X2 MIMO) 업스트림
34 Mbit/초
4,250 kB/초
UMB (4X4 MIMO) 다운스트림
280 Mbit/초
35,000 kB/초
UMB (4X4 MIMO) 업스트림
68 Mbit/초
8,500 kB/초
WAN 규격
DS0
64 kbit/초
8 kB/초
위성 인터넷 업스트림
64 kbit/초 to 1 Mbit/초
8 kB/초 to 128 kB/초
위성 인터넷 다운스트림
128 kbit/초 to 16 Mbit/초
16 kB/초 to 2 MB/초
프레임 릴레이
8 kbit/초 to 45 Mbit/초
1 kB/초 to 5.625 MB/초
G.SHDSL
2.3040 Mbit/초
0.288 MB/초
SDSL
64 kbit/초 to 4.608 Mbit/초
8 kB/초 to 0.576 MB/초
G.Lite (aka ADSL Lite) 업스트림
512 kbit/초
64 kB/초
G.Lite (aka ADSL Lite) 다운스트림
1.5 Mbit/초
192 kB/초
ADSL 업스트림
64 kbit/초 to 1024 kbit/초
8 kB/초 to 128 kB/초
ADSL 다운스트림
256 kbit/초 to 8 Mbit/초
32 kB/초 to 1 MB/초
ADSL2 업스트림
64 kbit/초 to 3.5 Mbit/초
8 kB/초 to 448 kB/초
ADSL2 다운스트림
256 kbit/초 to 12 Mbit/초
32 kB/초 to 1.5 MB/초
ADSL2Plus 업스트림
64 kbit/초 to 3.5 Mbit/초
8 kB/초 to 448 kB/초
ADSL2Plus 다운스트림
256 kbit/초 to 24 Mbit/초
32 kB/초 to 3.0 MB/초
DOCSIS v1.0 (케이블 모뎀) 업스트림
10 Mbit/초
1.25 MB/초
DOCSIS v1.0 (케이블 모뎀) 다운스트림
38 Mbit/초
4.75 MB/초
DOCSIS v2.0 (케이블 모뎀) 업스트림
30 Mbit/초
12.5 MB/초
DOCSIS v2.0 (케이블 모뎀) 다운스트림
40 Mbit/초
5 MB/초
DOCSIS v3.0 (케이블 모뎀) 업스트림
160 Mbit/초
20 MB/초
DOCSIS v3.0 (케이블 모뎀) 다운스트림
120 Mbit/초
15 MB/초
DS1/T1
1.544 Mbit/초
192.5 kB/초
E1
2.048 Mbit/초
256 kB/초
T2
6.312 Mbit/초
789 KB/초
E2
8.448 Mbit/초
1.056 MB/초
E3
34.368 Mbit/초
4.296 MB/초
DS3/T3 ('45 Meg')
44.736 Mbit/초
5.5925 MB/초
STS-1/EC-1/OC-1/초TM-0
51.840 Mbit/초
6.48 MB/초
VDSL (symmetry optional)
12 Mbit/초 to 100 Mbit/초
1.5 MB/초 to 12.5 MB/초
VDSL2 (symmetry optional)
12 Mbit/초 to 250 Mbit/초
1.5 MB/초 to 31.25 MB/초
LR-VDSL2 (4 to 5 km [long-]range) (symmetry optional)
1 Mbit/초 to 4 Mbit/초
128 kB/초 to 512 kB/초
OC-1
51.84 Mbit/초
6.48 MB/초
OC-3/초TM-1
155.52 Mbit/초
19.44 MB/초
T4
274.176 Mbit/초
34.272 MB/초
T5
400.352 Mbit/초
50.044 MB/초
OC-9
466.560 Mbit/초
58.32 MB/초
OC-12/초TM-4
622.08 Mbit/초
77.76 MB/초
OC-18
933.12 Mbit/초
116.64 MB/초
OC-24
1.244 Gbit/초
155.5 MB/초
OC-36
1.9 Gbit/초
237.5 MB/초
OC-48/초TM-16
2.488320 Gbit/초
311.04 MB/초
OC-96
4.976 Gbit/초
622 MB/초
OC-192/STM-64
9.953280 Gbit/초
1.24416 GB/초
10 기가비트 이더넷 WAN PHY
9.953280 Gbit/초
1.24416 GB/초
10 기가비트 이더넷 LAN PHY
10 Gbit/초
1.25 GB/초
OC-256
13.271 Gbit/초
1.65888 GB/초
OC-768/STM-256
39.813120 Gbit/초
4.97664 GB/초
OC-1536/STM-512
79.626 Gbit/초
9.95325 GB/초
OC-3072/STM-1024
159.252 Gbit/초
19.9065 GB/초
랜 규격
로컬토크
230.4 kbit/초
28.8 kB/초
ARCNET (표준)
2.5 Mbit/초
0.3125 MB/초
토큰링 (원본)
4.16 Mbit/초
0.52 MB/초
이더넷 (10base-X)
10 Mbit/초
1.25 MB/초
토큰링 (Later)
16 Mbit/초
2.0 MB/초
고속 이더넷 (100base-X)
100 Mbit/초
12.5 MB/초
FDDI
100 Mbit/초
12.5 MB/초
기가비트 이더넷 (1000base-X)
1 Gbit/초
125 MB/초
Myrinet 2000
2 Gbit/초
250 MB/초
InfiniBand 1X
2.5 Gbit/초
312 MB/초
10 기가비트 이더넷 (10Gbase-X)
10 Gbit/초
1.25 GB/초
Myri 10G
10 Gbit/초
1.25 GB/초
InfiniBand 4X
10 Gbit/초
1.25 GB/초
InfiniBand 12X
30 Gbit/초
3.75 GB/초
메모리 버스 규격 / 램
SPARC MBus
2560 Mbit/초
320 MB/초
PC66 SDRAM
4264 Mbit/초
533 MB/초
PC100 SDRAM
6400 Mbit/초
800 MB/초
HP Runway bus 125MHz 64비트
6400 Mbit/초
960 MB/초
PC133 SDRAM
8528 Mbit/초
1066 MB/초
PC1600 DDR-SDRAM (싱글 채널)
12.8 Gbit/초
1.6 GB/초
HP Runway bus 125MHz 64비트 DDR
16 Gbit/초
2 GB/초
PC1600 DDR-SDRAM (듀얼 채널)
25.6 Gbit/초
3.2 GB/초
PC2100 DDR-SDRAM (싱글 채널)
16.8 Gbit/초
2.1 GB/초
PC2100 DDR-SDRAM (듀얼 채널)
33.6 Gbit/초
4.2 GB/초
PC2700 DDR-SDRAM (싱글 채널)
21.6 Gbit/초
2.7 GB/초
PC2700 DDR-SDRAM (듀얼 채널)
43.2 Gbit/초
5.4 GB/초
PC3200 DDR-SDRAM (싱글 채널)
25.6 Gbit/초
3.2 GB/초
PC3200 DDR-SDRAM (듀얼 채널)
51.2 Gbit/초
6.4 GB/초
PC4000 DDR-SDRAM (싱글 채널)
34.3 Gbit/초
4.0 GB/초
PC4000 DDR-SDRAM (듀얼 채널)
68.6 Gbit/초
8.0 GB/초
PC800 RDRAM (싱글 채널)
12.8 Gbit/초
1.6 GB/초
PC800 RDRAM (듀얼 채널)
25.6 Gbit/초
3.2 GB/초
PC1066 RDRAM (싱글 채널)
16.8 Gbit/초
2.1 GB/초
PC1066 RDRAM (듀얼 채널)
33.6 Gbit/초
4.2 GB/초
PC1200 RDRAM (싱글 채널)
19.2 Gbit/초
2.4 GB/초
PC1200 RDRAM (듀얼 채널)
38.4 Gbit/초
4.8 GB/초
PC2-3200 DDR2-SDRAM (싱글 채널)
25.6 Gbit/초
3.2 GB/초
PC2-3200 DDR2-SDRAM (듀얼 채널)
51.2 Gbit/초
6.4 GB/초
PC2-4200 DDR2-SDRAM (싱글 채널)
34.136 Gbit/초
4.267 GB/초
PC2-4200 DDR2-SDRAM (듀얼 채널)
68.272 Gbit/초
8.534 GB/초
PC2-5400 DDR2-SDRAM (싱글 채널)
42.664 Gbit/초
5.333 GB/초
PC2-5400 DDR2-SDRAM (듀얼 채널)
85.328 Gbit/초
10.666 GB/초
PC2-6400 DDR2-SDRAM (싱글 채널)
51.2 Gbit/초
6.4 GB/초
PC2-6400 DDR2-SDRAM (듀얼 채널)
102.4 Gbit/초
12.8 GB/초
PC2-8500 DDR2-SDRAM (싱글 채널)
68.264 Gbit/초
8.533 GB/초
PC2-8500 DDR2-SDRAM (듀얼 채널)
164.528 Gbit/초
17.066 GB/초
하드 SATA 규격
SATA 또는 직렬 ATA(Serial ATA)는 하드 디스크 혹은 광학 드라이브와의 데이터 전송을 주요 목적으로 만든 컴퓨터 버스의 한 가지이다. 흔히 사타라고 읽으며 새터, 세이터라고 발음하기도 한다.
SATA는 예전의 ATA 표준을 계승하여, ‘병렬 ATA(PATA, Parallel ATA, 기존의 ATA)’를 대체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SATA 어댑터와 장치들은 비교적 속도가 빠른 직렬 연결을 이용하여 연결된다.
SATA의 아키텍처 위에서 물리 계층을 보면, 데이터 연결은 두 쌍의 한 방향의 신호 선들로 이루어진다. 이 선 위에서, SATA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VDS) 방식을 사용한다. LVDS는 병렬 ATA에 비해 더 빠른 전송을 가능케 한다. 바이트 데이터는 8B/10B 인코딩을 이용하여 인코딩되고 전송된다. 8B/10B 인코딩은 이더넷, 파이버 채널, PCI 익스프레스 등에서 이용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병렬에서 직렬로 인코딩을 하면 효율이 80%정도 나온다. 다만, 이 인코딩 방식은 비트와 문자열 경계를 구분하는 정보를 함께 가지고 있으므로, 클럭 신호가 따로 필요 없다. 병렬 방식이 아닌 직렬 방식을 사용하면, 미래에 성능이 개선된 하드 디스크가 나오면 속도를 뒷받침할 수 있다. 또한, 고속의 병렬 인터페이스에 견주어 가격을 낮출 수 있다.
SATA 물리 계층 위에는 링크 계층 및 트랜스포트 계층이 존재한다. 이 상위 계층들은 설정 및 데이터 오퍼레이션들 순차적인 패킷으로 변환한다. 이 패킷은 SATA이 연결되면 전송된다. 응용 계층에서는 SATA는 ATA의 동작 모델을 그대로 이용하였다. 작업 레지스터 파일(읽기/쓰기 PIO 및 DMA를 요청하기 위해 쓰임)도 같은데, 모든 SATA 호스트 구현은 이것을 반드시 구현해야 한다. 각 제조사별로는 옵션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 두었다. (이를테면, 시뮬레이티드 RAID), 하지만 이러한 기능들을 이용하려면 특별한 장치 드라이버를 써야 한다.
사용자의 관점에서 주요한 SATA와 PATA의 차이점이 한 가지 더 있다. 호스트와 드라이브 사이가 1:1로 연결된다는 것이다. 각 SATA 장치는 SATA 호스트 포트와 1:1로 연결된다. 다른 장치들과 케이블이나 대역을 같이 쓰지 않는다.
많은 제조사들은 SATA를 직렬 부착 SCSI(Serial Attached SCSI)와 결합하여 구현한 바 있다. 이 프로토콜은 커넥터를 같이 쓴다. 입문 수준의 초보 사용자들은 SATA 저장 장치를 쓰고, 나중에 높은 성능을 바라는 사용자들은 SAS로 업그레이드하는 길이 열려 있다.
SATA 1.5 Gbit/s
SATA 1.5 Gbit/s는 1 세대 SATA 인터페이스다. 사타 원(SATA I), 혹은 SATA/150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1 초에 약 1.5 기가비트의 속도로 통신할 수 있다. 8B10B 코딩의 오버헤드를 감안하면, 부호화가 되지 않은 상태의 전송률은 1 초에 1.2 기가비트(초당 150 메가바이트)다. 실제로는 SATA/150이나 PATA/133이나 이론적인 버스트-스루풋(burst throughput)은 비슷비슷하다. 하지만, 최근의 SATA 장치들은 NCQ 같은 기능을 제공하여 다중 작업 환경에서 SATA의 성능을 조금 더 높여주고 있다.
SATA 3.0 Gbit/s
SATA/150이 업계에 도입된 바로 다음, SATA/150에서 문제점이 몇 가지 부각되었다. 먼저, 응용 프로그램 수준에서 SATA의 구동 모델은 PATA의 구동 모델을 가상으로 구현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디스크가 한번에 한가지 요청(읽기/쓰기 등의 동작)만 처리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SCSI 디스크는 여러 요청을 받아서 큐(queue)에 넣은 후, 디스크 드라이브가 응답 시간을 최적화하기 위해 요청을 다시 배열할 수 있었다. NCQ에 의해 SATA에도 이러한 기능이 도입되었다. NCQ는 부가 기능으로 SATA 1.5 Gbit/s 와 SATA 3.0 Gbit/s 두 군데에서 쓸 수 있다.
1 세대 SATA 장치들은 이전의 병렬 ATA/133 장치에 비해 조금 더 빠를 뿐이었다. 그리하여 데이터 스루풋을 150 MB/s 에서 300 MB/s 로 늘린, 3 Gbit/s 신호 레이트 물리 계층이 도입되었다. 현재 데스크톱에서 쓸 수 있는 가장 빠른 하드 디스크만이 단지 SATA/150 링크를 간신히 꽉 채워서 사용하지만, 앞으로는 SATA/300 링크를 꽉 채워서 쓸 수 있는 디스크 드라이브 스루풋이 필요할 것이고, SATA/300이 그것을 만족시켜 줄 것으로 예상한다. 이것은 1.5 Gbits/s용 SATA 데이터 케이블이, 현재 3.0 Gbit/s 드라이브에 연결되어 지속/버스트 데이터 전송에 대해 속도 저하 없이 쓰이고 있는 까닭이기도 하다.
SATA/300과 SATA/150 사이의 하위 호환성은 중요했다. 그래서 SATA/300의 자동 협상 절차(autonegotiation sequence)가 SATA/300의 설계에 들어갔다. SATA/300은 SATA/150 장치(콘트롤러)와 연결될 때에는 SATA/150의 속도(1.5 Gbit/s)로 자동으로 떨어지게 된다. 몇몇의 옛 SATA 콘트롤러는 SATA 자동 속도 협상을 잘 처리하지 못한다. 해당 시스템에서는 3.0 Gbit/s 장치를 1.5 Gbit/s 장치로 설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점퍼를 바꿔서 꽂아야 했다. [1] 오류가 있는 칩셋으로는 VIA VT8237, VT8237R 사우스 브리지와, VIA VT6420, VT6421L 독립형 SATA 콘트롤러를 꼽을 수 있다.[2]
3.0 Gbit/s 규격은 흔히 시리얼 ATA II, 또는 사타 투(Serial ATA II, SATA II)라고도 불린다. 사실 직렬 ATA 표준화 단체에서는 그런 이름을 바라지 않았다. 공식 사이트에서는 SATA II는 당시 조직 이름이었을 뿐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그리고 SATA 3.0 Gbit/s 규격은 예전에 정의되었던 SATA II 가운데 하나였을 뿐이었다고 하며, SATA II가 아니라 SATA 3.0 Gbit/s로 불러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직렬 ATA 표준화 단체는 그 뒤에 이름을 바꾸었다. 지금의 이름은 The Serial ATA International Organization이다. SATA-IO라고 줄여 쓴다.) 대부분의 SATA 드라이브와 콘트롤러 제조 업체에서는 SATA II”라는 용어를 피하고 있다.
SATA 3.0 Gbit/초는 다른 말로 SATA 3.0, SATA/300이라고도 불린다. ATA/100, ATA/133, SATA/150라고 불리던 관례를 따랐다.
SATA 6.0 Gbit/sSATA의 로드맵은 SATA 6.0 Gbit/s 규격을 포함하고 있다. 현재의 PC에서 SATA 3.0 Gbit/s는 벌써 하드 디스크의 최고 전송 속도(버스트 전송을 제외한)를 훨씬 뛰어 넘었기 때문에 6.0 Gbit/s 규격은 하나의 SATA 포트에 여러 개의 드라이브를 연결하는 포트 멀티플라이어에 쓸모 있을 것으로 보인다. 램 드라이브와 같은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SD) 또한 머지 않아 이러한 전송 속도를 개선하는 이득을 볼 것으로 예상된다. 하드 디스크 제조 업체에서 이론적인 버스트 전송 속도를 잘 밝히지 않기 때문에 실생활에서 SATA를 사용하면서 얻는 이득은 더 적은 전력 소모와 케이블, 그리고 핫 플러그 정도다. 지금 몇몇 보드에서 지원하고 있다.
SATA에서 달라진 점
SATA는 단지 4 가닥의 신호선을 이용한다. PATA에 비해 작고, 저렴한 케이블을 쓸 수 있게 한다. 또, 핫 스왑이나 네이티브 커맨드 큐잉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SATA 드라이브들은 부가적으로 직렬 부착 SCSI(Serial Attached SCSI, SAS) 콘트롤러에 붙일 수 있다. 네이티브 SAS 디스크와 동일한 물리적 케이블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하지만 SAS 디스크들은 SATA 콘트롤러에 붙일 수 없다.
케이블과 커넥터들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PATA에 비해 SATA 방식의 전원 케이블과 데이터 케이블이 많이 달라졌다는 것이다. PATA와 달리, 노트북 디스크(2.5인치)든지 데스크톱용 디스크(3.5인치)든지 똑같은 모양의 SATA 커넥터를 쓸 수 있다. 노트북용 하드 디스크를 데스크톱에 연결해도 SATA를 쓰면 따로 어댑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SATA 표준에서는 데이터 케이블을 7 가닥으로 정의한다. (3개는 그라운드이고 4개는 2쌍의 액티브 데이터 선이다.) 양 끝에는 8 밀리미터 너비의 웨이퍼 커넥터가 달린다. SATA 케이블은 약 1 미터 길이까지 허용된다; PATA 리본 케이블은 대개 40개 혹은 80개의 도선 가닥을 가지고 있고, 46 센티미터 길이까지 허용한다. SATA 커넥터는 밀폐된 공간에 잘 들어맞고, 공기 냉각에 장애물이 되지 않아 깔끔하다. 하지만 SATA 커넥터는 때때로 의도하지 않게 빠져 버릴 수도 있다.
7 핀 SATA 데이터 케이블.
핀 #
기능
1
그라운드
2
A+
3
A-
4
그라운드
5
B-
6
B+
7
그라운드
15-핀 SATA 전원 커넥터.
SATA 표준에서는, 데이터 케이블 외에도 새로운 전원 커넥터를 규정하고 있다. 데이터 케이블과 마찬가지로 웨이퍼를 기반으로 한다. 15핀이다. 서로 헷갈리지 않게 하였다. 일부 SATA 장치에는 4핀짜리 몰렉스 커넥터를 연결할 수도 있지만 네이티브 SATA 장치에는 PATA에 쓰이던 예전의 4핀짜리 몰렉스 커넥터보다는 SATA 파워 커넥터를 쓰는 것이 낫다. SATA 파워 커넥터는 강도 면에서 문제를 보이기도 한다.(수직이 아닌 방향으로 억지로 빼면, 상단의 플라스틱 덮개가 부서질 수도 있다. 오른쪽 그림 참고) 개수가 많아 보이는 핀들은 세 개의 각각 다른 3.3V, 5V, 12V 전압을 공급할 때 쓰인다. 각 전압은 각각 3개 핀을 합쳐 공급 받는다. 나머지 핀 가운데 5개는 그라운드다. 마지막 11번 핀은 새로 붙는 드라이브를 위한 스태거드 스핀업에 사용된다. 전압 공급 핀들은 하나만으로는 충분한 전류를 공급하지 못하므로 다른 두 개 핀과 함께 전력을 공급한다. 3개의 전압 각각에 대한 핀들 가운데 한 개는 컴퓨터를 켜는 동안 장착하고 제거할 수 있는 핫 플러그 용도로도 쓰인다.
핀 #
기능
1-3
3.3 볼트
4-6
그라운드
7-9
5 볼트
10
그라운드
11
스태거드 스핀-업 (지원 드라이브에 한함)
12
그라운드
13-15
12 볼트
PATA에서 쓰던 4 핀짜리 몰렉스 커넥터를 SATA 파워 커넥터로 변환해 주는 어댑터가 시중에 나와 있다. 하지만 4 핀짜리 커넥터는 3.3 볼트 전압을 공급해 주지 못하므로, 이를 이용하는 경우 3.3 볼트 전압선은 연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3.3 V 전압이 필요한 드라이브에서는 이러한 어댑터를 쓰지 못한다.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제조사들은 3.3 볼트를 잘 안 쓰고 있다. 하지만, 3.3V 전압이 없으면, 앞서 말한 핫 플러깅을 구현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외장 SATA
2004년 중반, 외장 SATA(eSATA)가 표준이 되었다. 다른 종류의 케이블과 커넥터를 사용하도록 규정하였고, 전기적 요구 사양도 외장 용도에 맞게 개정하였다:
최소 송신 전압이 늘어났다: 범위가 400-600 mV 에서 500–600 mV 로 조정되었다.
최소 수신 전압이 줄었다: 범위가 325-600 mV 에서 240–600 mV 로 조정되었다.
프로토콜과 논리 시그널링은 SATA와 같다. (링크-트랜스포트 계층과 그 이상의 계층을 말한다.) 네이티브 SATA 장치가 최소한의 변경만으로 외장 인클로저에 담겨 쓰일 수 있도록 해 준다.
케이블 길이는 최대 2 미터다. (USB와 파이어와이어가 더 길다.)
SSD 하드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 |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는 반도체를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로 반도체 드라이브, SSD라고도 일컫는다. |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는 순수 전자식으로 작동하므로 기계식인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문제인 긴 탐색 시간, 레이턴시, 기계적 지연, 실패율을 크게 줄여 준다. 반면에 DRAM이 아닌 플래시 메모리를 SSD의 경우, 데이터 접근 시간이 아닌 연속적인 읽기와 쓰기에 대해 하드 디스크보다 속도가 낮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최신 기술이 적용된 SSD의 경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이상의 읽기와 쓰기 속도를 낼 수 있는 것도 있다. |
SSD는 보통 디램 휘발성 메모리나 일차 낸드 플래시 비휘발성 메모리로 이루어져 있다. |
플래시 드라이브 |
대부분의 SSD 제조업체들은 비휘발성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여 일반 소비자용 소형 장치를 만든다. 이 플래시 메모리 기반 SSD는 "플래시 드라이브"라고 부르며 배터리가 필요하지 않다. 이들은 표준 디스크 드라이브 크기(1.8인치, 2.5인치, 3.5인치)로 만든다. 게다가 비휘발성이므로 플래시 SSD가 전원이 꺼져 있는 상태에서도 기억 정보를 지속적으로 보유할 수 있게 해 주므로 데이터 영속성을 보장한다. 플래시 메모리 SSD는 디램 SSD보다 느리며 일부 모델은 대형 파일을 다룰 때 전통적인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보다 속도가 더 느리지만 움직이는 부품이 없기에 보통의 기계적 디스크에서 찾을 수 있는 검색 시간(seek time)과 다른 지연 시간은 무시할만하다. |
구성 요소 : |
캐시: 플래시 기반 SSD는 작은 양의 디램을 캐시로 사용하며 이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캐시와 비슷하다. 드라이브가 동작하는 동안 데이터의 웨어 레벨링(wear leveling)과 디렉터리 블록 배치가 유지된다. |
에너지 스토리지: 또다른 요소로는 일부 형태의 배터리나 캐퍼시터를 들 수 있다. 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는데 캐시 안에 있는 데이터는 전원이 차단되면 드라이브에서 없어진다. 일부 모델은 전원이 유지되기까지 캐시 안의 데이터를 유지할 만큼 충분한 긴 전력을 유지하기도 한다. |
SSD의 성능은 장치에 쓰이는 병렬 NAND 플래시 칩의 수에 따라 달라진다. 단일 낸드 칩은 좁은 (8/16비트) 비동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추가적인 높은 기본 입출력 레이턴시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느리다.[2]. 다중 낸드 기기들이 SSD 안에서 병렬로 동작할 때 부하가 장치끼리 고르게 분배된다면 대역폭은 커지며 높은 레이턴시를 숨길 수 있다. |
마이크론/인텔 SSD는 데이터 스트리핑 (레이드 0과 비슷)과 인터리빙 기술을 사용하므로 더 빠른 플래시 드라이브를 만들게 되었다. 이로써 초당 250 MB에 다다르는 읽기/쓰기 속도를 갖는 매우 빠른 SSD를 만들 수 있게 되었다. |
SLC와 MLC |
저가형 드라이브는 보통 멀티 레벨 셀(MLC)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며 이는 싱글 레벨 셀(SLC) 플래시 메모리에 견주어 신뢰성과 속도가 떨어진다.[4][5] 이는 SSD의 내부 디자인 구조로 완화시킬 수 있는데 이를테면 웨어 레벨링 알고리듬을 위한 여분의 용량과 인터리빙이 그것이다. 이를테면 최근에 퓨전 멀티시스템즈사가 제조한 ATTO 벤치마크에서 단일 PCIe 싱글 레벨 셀 기억 장치는 레이드 0으로 설정한 4개의 MLC 기반의 인텔 X-25M의 성능을 앞지를 수 있었다. |
디램 기반 드라이브 |
이 부분의 본문은 i-RAM, 하이퍼드라이브입니다. |
디램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를 기반으로 한 SSD는 매우 빠른 데이터 접근 속도를 보인다. (0.01 밀리초 이하이며 주로 플래시 SSD나 전통적인 HDD의 레이턴시에 발목이 잡히는 응용 프로그램을 가속하는 데 쓰인다. 디램 기반의 SSD는 보통 내부 전지나 외장 AC/DC 어댑터, 그리고 백업 스토리지 시스템을 사용하여 데이터 영구성을 보장한다. 그러나 외부 자원으로부터 전력이 드라이브에 공급되지는 않는다. 전원이 손실되면 전지는 모든 정보가 램으로부터 백업 스토리지에 복사되는 동안 전원을 제공한다. 전원이 되돌아오면 정보는 백업 스토리지로부터 램으로 복사되며 SSD는 일반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현대의 운영 체제에서 제공하는 최대 절전 모드와 비슷하다) |
이러한 종류의 SSD는 보통 일반적인 PC와 서버에 쓰이는 같은 종류의 디램 모듈로 되어 있어 더 큰 모듈로 대체하거나 교환할 수 있다. |
(직접적인) 인피니밴드 연결이나 빠른 네트워크로 된 이차 컴퓨터는 램에 기반을 둔 SSD로 사용된다. |
|
2.5인치 전통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왼쪽)와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가운데)의 케이스를 연 모습 |
하드 디스크와의 비교 |
장점 |
임의 접근을 하기 때문에 탐색 시간이 없어 보다 빠르게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
물리적인 이동이 없기 때문에 전력을 절약할 수 있으며, 소음이 없고, 발열도 낮다. |
물리적으로 움직이는 부분이 없어 기계적으로 접근이 실패할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높은 기계적 신뢰성이 보장된다. |
충격, 기압, 진동, 온도변화에 강하다. |
용량이 적은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보다 크기와 무게가 더 작다. |
단점 |
2009년 7월 현재 플래시 메모리의 단위용량당 가격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보다 비싸다. |
수만 번의 수정으로 소자가 파괴되므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보다 수명이 짧다. Wear leveling(균등 분배) 기술로 수명의 연장이 가능하다. |
다른 요인 때문에 데이터 손상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특히 DRAM 기반의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에서) 뜻밖의 정전으로 데이터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일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비해 정전기에 약하다. |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처럼 바로 덮어쓰기를 할 수 없고 블록단위 삭제를 한 후 쓰기를 수행한다. 때문에 임의 쓰기(Random Write)에는 약한 면이 있으며 읽기와 쓰기 성능이 비대칭적이다. 제조회사마다 고유의 FTL을 이용하여 이를 해결하고 있다. |
휴대용 컴퓨터에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를 장착하여 배터리 지속시간을 측정할 경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장착한 휴대용 컴퓨터의 배터리 지속시간이 훨씬 길 수도 있는데, 그 이유는 풀 로드의 경우가 아닌 유휴상태에서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보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전력 소모량이 적기 때문이다. |
일부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는 내장된 컨트롤러 칩셋의 한계로 인해 사용중 데이터 교환이 일시적으로 수 초간 멈추는 현상(프리징)이 간혹 발생할 수 있다. |
제가 마무리를 않 지을줄 아셨죠 ㅎㅎ
쭉 다 읽으셨는지 궁금합니다. ㅎㅎ
그럼 여기서 마무리 짓도록 하겠습니다
읽는데 고생이 많고 이해하기 힘들지만 그래도 알고 지나가야합니다 ㅎㅎ
그럼 즐거운 하루되세요
우헤헤 대마왕의 PC 이야기 입니다.
VICTREE.NET
VICTREE.CO.KR
'PC 이야기 > PC 조립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12장 윈도우 설치 XP 설치. 외우면 까먹는다. 개념을 잡자. (컴퓨터 조립 - PC 조립 강좌) (0) | 2010.05.28 |
---|---|
제 11장 제 윈도우 설치의 개념. 설치법을 알아봐야 까먹는다 개념을 잡자. (컴퓨터 조립 - PC 조립 강좌) (0) | 2010.05.28 |
제 9장 과연 인텔 VS AMD 무엇이 정답일까. 그것이 문제로다. (컴퓨터 조립 - PC 조립 강좌) (0) | 2010.05.27 |
제 8장 PC는 칩셋 덩어리. (컴퓨터 조립 - PC 조립 강좌) (0) | 2010.05.27 |
제 7장 PC와 친해지려면 (컴퓨터 조립 - PC 조립 강좌) (0) | 2010.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