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C 이야기/PC 조립 강좌

제 36장 외장형 하드. (컴퓨터 조립 - PC 조립 강좌)

by 우헤헤 대마왕 2010. 5. 30.
반응형

안녀하세요

우헤헤 대마왕 인사드립니다.

오늘도 한가지 주제를 가지고 이야기 합니다

오늘의 주제는 외장형 하드 입니다.

외장형 하드는 시디롬이나 메모리와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드처럼 큰 용량을 이동형으로 들고 다니게 만든 것이라 생가하시면 됩니다.

메모리는 작지만 저용량이고 요즘은 그래도 64기가 짜리도 있습니다

놀라운 사실이 아닐수 없습니다 몇년 전만해도 128M 512M 였는데 말이죠 

지금현제는 64G 까지 나옵니다 하지만 가격이 십만원대 후반이라 너무 비싸군요 

일반 하드의 경우라면 1테라를 사고도 남는 가격입니다.

시디롬의 경우 4,5G~8기가 나오지만  레코딩을 한다는게 불편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며

보관이 귀찮고 자료 찾기가 복잡합니다 일일이 시디를 넣어 찾아야 하니까요

 

그리하여 이래 저래 요래 만들어 진것이 일반 하드나 노트북 하드를 작게 만들어 외장형 케이스에

가지고 다니는 방식의 외장형 하드라는 것 입니다. 외장형 하드는 1.8", 2.5", 3.5" 방식으로 만들어 집니다.

1.8인치의 경우 많이 쓰는 타입은 아닙니다 크기가 작지만 그에 따라 아직은 용량이 작습니다.

 

보통 2.5" 또는 3.5를 많이 사용 합니다.

2.5인치의 경우 가겹고 작으며 전력을 적게 요구합니다

하지만 전력이 USB로 전력 받아 쓰므로 가끔 PC케이스 전면이나 노트북과 연결시 전압이 부족한 경우가 발생합니다.

외부 USB전압이 약한 경우 작동이 불가능합니다. 그리하여 보통 케이스 안에 들어가는 하드의 경우

작도 회전수가 7200RPM 제품 보다는 5400RPM 제품으로 사용하여 전기를 낮추어 사용합니다 .

용량은 보통 160G~500G 정도로 많이 사용합니다. 2.5"케이스 안에 들어가는 하드는 노트북 용으로 쓰는 하드 입니다.

 

3.5인치의 경우 보조 전력이 따로 들어갑니다.

하드의 크기는 현존에 나오는 1,5테라 까지 장착이 가능하며 고용량으로 사용시 많이 사용됩니다

3.5인치 이기에 전력이 따로 필요합니다 또한 크기가 좀 크므로 기본적으로 주머니에 넣어 다지니 못합니다

이동시 약간의 무게와 크기를 감수해야 합니다.

 

외장형 하드는 구조상 케이스와 하드로 나뉘어 집니다.  

하드와 케이스를 같이 구매할수 있는 일체형 제품과 하드 따로 케이스 따로 구매해 조립하는 조립형으로 나누어 집니다

저의 경우 하드와 케이스를 따로 구매하여 조립해서 쓰는 것을 좋아합니다.

조립해야 한다고 해서  어렵지 않습니다 단자에 하드를 끼운 후  나사 4개 정도를 조여 주고

파티션과 포멧을 하여 쓰면 됩니다 참 쉽죠잉...

매우 간다한 방식으로 되어있습니다 누구나 메뉴얼을 보시면 쉽게 조립하여 사용이 가능합니다

일체형보다 조립형으로 구매시 별도 하드 수리기간이 길어지므로 저의 경우는 조립형을 사용합니다.

보통 일체형의 경우 하드와 케이스가 수리기간이 1년 이지만 조립형으로 구매시 케이스 1년 하드는 2~3년 수리가 가능합니다

 

케이스의 단자.. 

위 하드 케이스는 도킹 시스템 입니다

조립하지 않고 슬롯에 하드를 꽂아서 쓰는 방식 입니다

2.5인치 하드와 3.5인치 하드를 같이 사용이 가능합니다

전에 IDE방식은 노트북 하드와 일반 하드가 소켓이 달라 않되었지만

현제 SATA 하드의 경우 단자 규격이 같아 혼용하여 사용이 가능합니다.

 

외장형 하드의 케이스는 보통 3.5인치나 2.5의 경우 

다음과 같은 3가지의 단자가 나옵니다

USB 단자 (가장 외장형으로 많이 쓰는 단자입니다.) 

IEEE1394 단자 (USB단자에 밀려 않나옴)

E-SATA 단자 (하드와 같은 속도로 사용이 가능함)

 

케이스에 들어가는 하드 종류

 

보통 하드 종류는 2종류가 있습니다 

1,8인치 하드는 제외 합니다. 보통 일체형으로만 나옵니다  

 

 

IDE 구형 하드  ( 현재 외장형 하드에서는 쓰지 않습니다 구형의 경우 쓰임)

 

SATA 방식


케이스 종류

케이스 종류는 많습니다 하지만 내부 구조는 같습니다 다만 모양만 다릅니다

1.8인치 2.5인치 3.5인치로 보통 구분이 됩니다.  방식의 차이입니다.

또한 고가와 저가의 차이는 케이스 안쪽 기판 컨트롤러와 아답터 케이스 모양 등에 의해 결정됩니다.

 

1.8인치 케이스



보통 대략적 크기


2.5인치 케이스



3.5인치 케이스 및 콤보 도킹 케이스  대략적 크기  35(D) x 185(W) x 125mm(H)


 

외장형 하드 구입시 USB 타입과 USB, ESATA 겹용 타입이 있습니다

PC에 외부 단자가 있다면 ESATA 타입이 빠릅니다

다만 케이스 가격이 좀더 비쌉니다.

 

또한 혹시 모르니 자신이 가지고 있는 하드가 IDE타입이라면 하드 타입에 맞는 케이스를 구매 하셔야 합니다.

요즘은 거의 모든 하드케이스가 SATA하드 지원 으로 나오기 때문에 확인하시고 구매 하시길 바랍니다.

 

정리 하자면.

외정형 하드란 일반 하드를 외정형 케이스에 넣어 이동용 수단이나 외부로 데이터를 저장시에 사용 하는장치를 말합니다.

하지만 주의 사항이 있습니다 주의 사항이란 이동시 하드의 충격으로 인한 데이터 손실 곳 하드의 물리적 고장입니다

또한 외부 전압을 사용시 아답터의 이상으로 인해  과전류가 흘러 하드가 고장이 나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 하시길 바랍니다

ssd 하드를 쓰면 좋겠지만 아직은 외장형 하드로 쓰기는 너무 고가이며 외장형 하드에 넣을시 원활한 속도를 내지 못하므로

별로 권해 드리고 싶지 않습니다

뭐 곳 USB 3.0 지원 하드 케이스가 나오기 시작하면 보다 원활한 사용이 가능하리라 생각됩니다

그럼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시고 오늘은 외장형 하드에 대해 이야기 해보았습니다 

다른 궁금하신 사항이 있다면 댓글 달아 주세요

읽어 주셔서 고맙습니다 

우헤헤 대마왕의 PC 이야기 입니다.
www.VICTREE.NET
www.VICTRE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