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래는 운남 보이차 협회에서 발간한 "보이차 가공 기술 " 교재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보이차의 품질을 결정하는 것은 차잎을 구성하는 화확물질의 성분과 함량이다
차잎에는 화확적 결합을 거친 화합물이 600여 종이 있으며
그중 유기 화합물질이 450여종 이상이며 차의 품질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성분은
10여 종의 물질이 있다.
신선한 차잎은 75~78%의 수분과 22~25%의 유무기 화합물로 구성 되어 있으며
유기물은
단백질 :20~30%
아미노산 :1~4%
알카로이드 3~5%
당류 :20~25%
카페인 :20~35%
지방 :8%
유기산 :3%
색소 :1%
방향물질 :0.005~0.03%
비타민 :0.6~1.0%
무기물은
수용성이 2~4%
불수용성 1.5~3% 정도로 구성 되어 있다
차잎의 중요한 성분인 단백질은
햇싹(芽) :29.05%, 제1엽(葉) :26.06%. 제2엽(葉) :25.92%, 제3엽(葉) :24.94% 로
차의 잎이 늦게 나오는 것 일 수록 단백질은 함량이 낮아 지며
카페인 역시
햇싹 (芽)에 3.98%. 제 1엽 :3.72% ,제2엽 :3.29%. 제 3엽 :2.68%, 제 4엽 :2.38% , 줄기 :1.64%
로 낮아진다
아미노산은 차의 깨끗하고 개운한 맛을 내는 아주 중요한 성분 중 하나인데 차의 품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카페인 성분과 결합 차맛의 농도와 상큼한 느낌을 주며
가공 과정을 거치면서 다른 성분과 어울려 향과 단맛을 낸다
차의 향과 차의 기운(차기:茶氣)에 반드시 영향을 준다
보 이 차 의 효 능(고대기록)
神農本草(신농본초)
전국시대 및 진,한 시대학자들이 수집한 자료들이 모인책 신농이 100가지 약초를 맛보다가
72가지 독에 중독되었는데 차를 얻어 먹으니 해독 되었다.
東漢시대 華陀(화타)의 食論에는 차를 오래 마시면 생각이 깊어진다.
神農食經(신농식경)
차를 오래 마시면 기운이나고 기분이 좋아진다.
新修本草(신수본초)-당나라시대
① 차 맛이 쓰고달며 성질은 미약하게 차고무독이다.
② 피부의 부스럼을 치료하고 소변이 잘나오게 한다.
③ 담을 삭이고 갈증을 해소한다.
④ 苦茶(봄에딴차)는 흥분을 가라 않히고,채한 음식을 소화시키며 잠이 잘오지 않게 한다
本草綱目拾遺(본초강목습유)-청나라시대
① 배가 더부룩할 때, 추위를탈 때 생강과 같이 끓여서마시고 땀을내면 바로 좋아진다.
②입안이나 목에 염증이 있으면 차를 5분쯤 머금으면 바로 치유된다.
隨息居飮食譜(수식거음식보)-청나라 王士雄(왕사웅)
구토, 풍, 가래에 좋고 고기를 잘 소화시키고 장염이나 이질 콜레라도 치료한다.
南見聞錄(전남견문록)-오대훈(청나라)
① 보이차는 기를 다스리고 막힌것을 뚫고 風寒(풍한)을 치료한다.
② “사람에게 가장 유용한 물건이다”라고 극찬하였다.
普志(보지) 청, 光緖(광서)년 간편
① 맛, 기운, 성질이 땅을 닮아 따뜻하다.
② 赤土(적토)나 잡석이 섞인 흙에서 자란것이 가장 좋다.
③ 음식을 소화시키고 한증을 다스리고 해독작용이 있다.
黎岐紀聞(여기기문)-청나라 張慶長(장경장)편
① 黎茶는 거칠고 맛이쓰고 떫다. 마시면 체한것이 뚫리고 속이 더부룩한 것을 편하게 한다.
② 오래된 것이 더욱 좋다.
* 청나라 이후 약으로 쓴 처방들이 탕, 환, 가루등을 만들어 마시거나 발랐다.
* 현대 과학적 검사방법 결과
① 보이차는 인체에 유익한 폴리페놀, 비타민, 아미노산, 색소, 알카로이드 등 이 많이
함유되어있고 탄닌이 많이 함유되어 세균을 죽인다
②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다이어트 효과도 있다.
③ 윈난성은 암 발병률이 전국에 1/2수준이며 보이차 생산지인 쓰마오, 경곡, 징홍, 시상반나
지역의 암 발생률이 윈난성에서도 현저히 낮다
보이차의 품질을 결정하는 것은 차잎을 구성하는 화확물질의 성분과 함량이다
차잎에는 화확적 결합을 거친 화합물이 600여 종이 있으며
그중 유기 화합물질이 450여종 이상이며 차의 품질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성분은
10여 종의 물질이 있다.
신선한 차잎은 75~78%의 수분과 22~25%의 유무기 화합물로 구성 되어 있으며
유기물은
단백질 :20~30%
아미노산 :1~4%
알카로이드 3~5%
당류 :20~25%
카페인 :20~35%
지방 :8%
유기산 :3%
색소 :1%
방향물질 :0.005~0.03%
비타민 :0.6~1.0%
무기물은
수용성이 2~4%
불수용성 1.5~3% 정도로 구성 되어 있다
차잎의 중요한 성분인 단백질은
햇싹(芽) :29.05%, 제1엽(葉) :26.06%. 제2엽(葉) :25.92%, 제3엽(葉) :24.94% 로
차의 잎이 늦게 나오는 것 일 수록 단백질은 함량이 낮아 지며
카페인 역시
햇싹 (芽)에 3.98%. 제 1엽 :3.72% ,제2엽 :3.29%. 제 3엽 :2.68%, 제 4엽 :2.38% , 줄기 :1.64%
로 낮아진다
아미노산은 차의 깨끗하고 개운한 맛을 내는 아주 중요한 성분 중 하나인데 차의 품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카페인 성분과 결합 차맛의 농도와 상큼한 느낌을 주며
가공 과정을 거치면서 다른 성분과 어울려 향과 단맛을 낸다
차의 향과 차의 기운(차기:茶氣)에 반드시 영향을 준다
보 이 차 의 효 능(고대기록)
神農本草(신농본초)
전국시대 및 진,한 시대학자들이 수집한 자료들이 모인책 신농이 100가지 약초를 맛보다가
72가지 독에 중독되었는데 차를 얻어 먹으니 해독 되었다.
東漢시대 華陀(화타)의 食論에는 차를 오래 마시면 생각이 깊어진다.
神農食經(신농식경)
차를 오래 마시면 기운이나고 기분이 좋아진다.
新修本草(신수본초)-당나라시대
① 차 맛이 쓰고달며 성질은 미약하게 차고무독이다.
② 피부의 부스럼을 치료하고 소변이 잘나오게 한다.
③ 담을 삭이고 갈증을 해소한다.
④ 苦茶(봄에딴차)는 흥분을 가라 않히고,채한 음식을 소화시키며 잠이 잘오지 않게 한다
本草綱目拾遺(본초강목습유)-청나라시대
① 배가 더부룩할 때, 추위를탈 때 생강과 같이 끓여서마시고 땀을내면 바로 좋아진다.
②입안이나 목에 염증이 있으면 차를 5분쯤 머금으면 바로 치유된다.
隨息居飮食譜(수식거음식보)-청나라 王士雄(왕사웅)
구토, 풍, 가래에 좋고 고기를 잘 소화시키고 장염이나 이질 콜레라도 치료한다.
南見聞錄(전남견문록)-오대훈(청나라)
① 보이차는 기를 다스리고 막힌것을 뚫고 風寒(풍한)을 치료한다.
② “사람에게 가장 유용한 물건이다”라고 극찬하였다.
普志(보지) 청, 光緖(광서)년 간편
① 맛, 기운, 성질이 땅을 닮아 따뜻하다.
② 赤土(적토)나 잡석이 섞인 흙에서 자란것이 가장 좋다.
③ 음식을 소화시키고 한증을 다스리고 해독작용이 있다.
黎岐紀聞(여기기문)-청나라 張慶長(장경장)편
① 黎茶는 거칠고 맛이쓰고 떫다. 마시면 체한것이 뚫리고 속이 더부룩한 것을 편하게 한다.
② 오래된 것이 더욱 좋다.
* 청나라 이후 약으로 쓴 처방들이 탕, 환, 가루등을 만들어 마시거나 발랐다.
* 현대 과학적 검사방법 결과
① 보이차는 인체에 유익한 폴리페놀, 비타민, 아미노산, 색소, 알카로이드 등 이 많이
함유되어있고 탄닌이 많이 함유되어 세균을 죽인다
②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다이어트 효과도 있다.
③ 윈난성은 암 발병률이 전국에 1/2수준이며 보이차 생산지인 쓰마오, 경곡, 징홍, 시상반나
지역의 암 발생률이 윈난성에서도 현저히 낮다
'보이차 > 보이차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이차가 만들어 지는 과정 (생차) (2) (0) | 2010.06.11 |
---|---|
보이차가 만들어 지는 과정 (생차) (1) (0) | 2010.06.11 |
좋은 보이차 선택. 보이차 고르기. (0) | 2010.06.09 |
보이차 연대표 (0) | 2010.06.09 |
보이차의 역사 (0) | 2010.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