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C 이야기/PC 조립 강좌

제 25장 부품 이야기 부품명 RAM(램). (컴퓨터 조립 - PC 조립 강좌)

by 우헤헤 대마왕 2010. 5. 29.
반응형
안녕하세요
우헤헤 대마왕 인사 드립니다
설 연휴는 잘 보내셨나요 무사귀환 하셨기를 바랍니다
그럼 오늘도 한가지의 주제를 가지고 이야기를 시작하겠습니다
오늘의 주제는 RAM 메모리가 입니다.
메모리란 ..
간단하게 말씀 드리자면 시피유로 가는 자료를 일시적으로 기억한 후에
CPU가 원하는 크기만큼의 자료를 원활하게 보내주는 역활을 해주는 부품입니다.
메모리의 구조는 선입 선출 구조입니다 먼저 들어간 자료가 먼저 나오는 튜브 방식이며
케쉬와 다릅니다 케쉬는 선입선출 후입선출도 가능합니다. 
메모리의 경우 자료를 시피유로 보내주는 중간 창고의 역활을 합니다. 
시피유의 성능 만큼 필요 한 것이기에 시피유가 하는 일의 양보다 많아 봐야 낭비일 뿐입니다..
그럼 메모리는 어떤 것인지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RAM(Random Access Memory)은 기억된 정보를 읽어내기도 하고 다른 정보를 기억시킬 수도 있는 메모리로서,
컴퓨터의 주기억장치, 응용 프로그램의 일시적 로딩(loading), 데이터의 일시적 저장 등에 사용된다
D(Dynamic)램은 전원이 차단될 경우 저장되어 있는 자료가 소멸되는 특성이 있는 휘발성 기억소자이며, 시간이 지나가면 축적된 전하가 감소되기 때문에 전원이 차단되지 않더라도 저장된 자료가 자연히 소멸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재기록할 수 있고 저장용량이 커서 PC의 주요 메모리로 쓰인다. 256메가D램 제품의 경우 데이터 저장용량은 신문지 2100장, 원고지로 따지면 8만4000장에 달한다. 얼마 전까지 일반 S(Synchronous)D램이 주로 쓰였는데 요즘에는 PC업체들이 이 제품보다 데이터 처리 속도가 2배 더 빠른 DDR(더블데이터레이트) SD램을 주기억장치로 채택하고 있다.
S(Static)램은 전원이 공급되는 한 기억된 데이터가 지워지지 않는다. 플립플롭 방식의 메모리 셀을 가진 임의 접근 기억장치로서 전원 공급이 계속되는 한 저장된 내용을 계속 기억하며, 복잡한 재생 클록(refresh clock)이 필요 없기 때문에 소용량의 메모리나 캐시메모리에 주로 사용된다. 소비전력이 적고 D램에 비해 정보처리속도가 6배나 빨라 주로 PC의 수치계산 용도로 이용된다. 교환기의 메모리로도 활용된다. 
메모리의 듀얼채널이란
듀얼 채널(dual channel) 아키텍처는 램에서 메모리 컨트롤러를 거치는 데이터를 두 배로 만드는 기술을 말한다. 듀얼 채널을 사용하는 메모리 컨트롤러는 두 개의 64비트 데이터 채널을 이용함으로써 램에서 CPU로 데이터를 이동하기 위해 모두 128비트의 대역을 낼 수 있다. DDR SDRAM, DDR2 SDRAM, DDR3 SDRAM에서 이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병목현상을 줄이는 방법으로 고안이 
되었으나 실질적으로 성능차이는 5~8% 미만이었다. 쓰잘대기 없는 ....  그냥 좀더 병목을 줄이고자 하는 기술이었습니다.
현재의 경우 메모리의 듀얼 채널보다는 메모리 용량에 따라 성능차이가 납니다 
현재 모든 시피유(CPU)가 2G~8G 까지를 원활하게 지원합니다. 
시피유(CPU)듀얼의 경우 2G~4G 정도가 무난하며 쿼드의 경우 2G~8G 까지 지원이 무난합니다. 
현재 나오는 DDR 메모리의 종류
DDR SDRAM
DDR SDRAM컴퓨터에 쓰이는 메모리 집적 회로 계열이다. 클럭 주파수를 높이지 않고도 SDR SDRAM에 비해 대역폭이 거의 두 배나 늘어났다.
JEDEC는 DDR SDRAM의 속도에 대한 표준을 두 가지로 지정하였다. 첫 규격은 메모리 칩에 대한 것이고, 두 번째 규격은 메모리 모듈에 대한 것이다. DDR-SDRAM이 더 나중에 나온 DDR2 SDRAM에 압도당하면서 더 오래된 버전은 DDR1-SDRAM으로 일컫게 되었다.
규격 
표준 이름 메모리 클럭 순환 주기 입출력 버스 클럭 초당 데이터 전송량 모듈 이름 최고 전송률
DDR-200 100 MHz 10 ns[1] 100 MHz 200,000,000 PC-1600 1600 MB/초
DDR-266 133 MHz 7.5 ns 133 MHz 266,000,000 PC-2100 2100 MB/초
DDR-300 150 MHz 6.67 ns 150 MHz 300,000,000 PC-2400 2400 MB/초
DDR-333 166 MHz 6 ns 166 MHz 333,000,000 PC-2700 2700 MB/초
DDR-400 200 MHz 5 ns 200 MHz 400,000,000 PC-3200 3200 MB/초
DDR2 SDRAM
주된 이점은 외부 데이터 버스를 DDR SDRAM의 두 배 만큼 빠르게 동작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점은 개선된 버스 시그널링을 통해 수행된다. DDR2 메모리는 DDR 메모리와 같은 클럭을 가졌으므로 같은 대역을 제공하지만 레이턴시가 꽤 높기 때문에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규격 
표준 이름 메모리 클럭 순환 주기 입출력 버스 클럭 초당 데이터 전송량 모듈 이름 최고 전송률
DDR2-400 100 MHz 10 ns 200 MHz 400,000,000 PC2-3200 3200 MB/초
DDR2-533 133 MHz 7.5 ns 266 MHz 533,000,000 PC2-4200 4266 MB/초
PC2-43001
DDR2-667 166 MHz 6 ns 333 MHz 667,000,000 PC2-5300 5333 MB/초
PC2-54001
DDR2-800 200 MHz 5 ns 400 MHz 800,000,000 PC2-6400 6400 MB/초
DDR2-1066 266 MHz 3.75 ns 533 MHz 1,066,000,000 PC2-8500 8533 MB/초
DDR3 SDRAM
전자 공학에서 DDR3 SDRAM은 컴퓨터와 다른 디지털 회로 장치에서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는 데 쓰이는 램 기술이다. 디램 가운데 하나인 SDRAM계 기술의 일부이며, 이전 기술인 DDR2 SDRAM 제품보다 동작속도, 전력소모 등이 뛰어나다. 삼성전자가 2005년 업계최초로 개발하였다.
DDR3의 주된 이점은 입출력 버스를 메모리 셀의 속도보다 4배나 빠르게 동작할 수 있다는 점이며, 이로써 이전의 메모리 기술보다 더 빠른 버스 속도를 구현할 수 있다. 다만 더 빠른 버스 속도와 스루풋은 레이턴시를 늘리는 결과를 낳아 전반적인 속도가 떨어질 수 있다. 또한, DDR3은 512 메가비트부터 8 기가비트까지의 칩 용량을 표준으로 지정해 놓고 있다. 따라서 최대 16 기가바이트의 메모리 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규격
표준 이름 메모리 클럭 순환 주기 입출력 버스 클럭 초당 데이터 전송률 모듈 이름 최대 전송률
DDR3-800 100 MHz 10 ns 400 MHz 800,000,000 PC3-6400 6400 MB/초
DDR3-1066 133 MHz 7.5 ns 533 MHz 1,066,000,000 PC3-8500 8533 MB/초
DDR3-1333 166 MHz 6 ns 667 MHz 1,333,000,000 PC3-10600 10667 MB/초
DDR3-1600 200 MHz 5 ns 800 MHz 1,600,000,000 PC3-12800 12800 MB/초
메모리 구별법 
ddr1 의 경우 메모리의 칩 크기가 상당히 크다 아래 기판 위의 칩을 보면 두배 정도의 크기일 것입니다
이렇게 구별이 참 쉽습니다 종류는 보통 512M 1G  로 나왔으며  이제는 거의 쓰지 않습니다
오래전에 단종... 거의 2006년에 단종이라 보면 됩니다.
2006년 부터 2009년 까지 가장 많이 쓰였던 메모리입니다. 용량은 1G 2G로 나왔으며 보드 수가 DDR3와 같은
240 핀이며 현재는 DDR3로 바뀌어 많이 쓰고 있지 않습니다 이번 2010년도에 거의 단종이 될듯 합니다.
DDR3와 구별 방법은 중간에 있는 메모리 칸막의 위치가 다릅니다. 약간...
메모리가 꼭 삼성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ㅎㅎ 하이닉스도 있습니다
DDR2 와 DDR3는 모양 차이가 거의 비슷합니다
그러니 아래 사이의 칸막이와 위 스티커에 모델 표시를 잘 보셔야 합니다.
장착시 잘 들어가지 않는다면 억지로 끼우시면 안됩니다.
2G DDR3 10600 SAM
사용장치  PC용
전송방식  DDR3
PC레이팅  PC3-10600
용량  2G
버스클럭  1333MHz
메모리규격  Dimm 240핀
ECC / REG  미지원
램타이밍  CL9
방열판  미지원
메모리의 종류가 많은 이유와 메모리 셋팅법.. 
메모리는 시피유와 같이 발전을 합니다 .
왜냐 시피유로 들어갈 자료를 먼저 저장한 후에 시피유로 자료를 보내주기 위한 부품이기 때문입니다.
그리하여 보통 시피유의 내부 버스와 맞추어주는 것이 기본적인 조립법 입니다.
2003년 초기는 시피유 내부 클럭과 메모리 클럭을 맞추어 셋팅을 하였습니다.
하지만 2006년 콘로가 나오고 나서 기본적인 시피유 내부 클럭과  메모리 내부 클럭을 맞추는
기본적이 셋팅법이 바뀌기 시작하였습니다.
내부 버스와 상관없이 메모리를 시피유 클럭보다 더 빠른 메모리로 셋팅을 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뭐 시피유의 오버클럭을 할때 시피유로 전송되는 메모리의 자료가 시피유의 속도를 맞추기 위해 오버용
메모리로 기본적인 메모리 보다 빠른 메모리를 조립해 쓰는 것입니다.
그리하여 현재는 시피유의 내부 속도와 메모리의 전송속도를 꼭 맞추어 조립을 하지 않습니다.
보드에서 지원하는 메모리의 종류로 조립하시면 된다고 생각하시면됩니다 ㅎㅎ
운영 체제에 따른 메모리 크기..
윈도우 XP 512~3기가 입니다
전에는 아주 옛날 옛날 호랑이 방구 끼는 시절 512~1기가 정도로 셋팅을 했지만
지금 현재 서비스팩3와 각종 업글과 저질 게임으로 인해 지금 현재는 최소 1~2기가 또는 4기로 세팅을 합니다
하지만 윈도우 XP 32비트의 경우 최대 3기가로 밖에 인식이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나중에 윈도우7의 셋팅을 위해
4기가로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윈도우7의 경우 최소 2G~4G로 권장합니다.
윈도우7의 경우 설치시 초기 구동시 약 700M가 정도가 소요되며 익스플로 하나를 띄울시 XP가 15~25M정도에 
이지만 비스타 윈도우7의 경우 80~100M 정도가 소요 됩니다 그러니 메모리 할달율이 크니 넉넉히 넣으시길 바랍니다.
메모리가 크면 좋은가??
메모리는 크게 다음과 같이 셋팅을 합니다
현재는 기본 2기가로 세팅을 합니다. 무조건 왜냐 윈도우7 때문입니다
그리고 2기가 않 끼우면 그건 PC 아니죠 닌텐도죠 ㅎㅎ
메모리를 많이 늘리면 좋은가 글세요. 저는 아니라고 봅니다.
그냥 인터넷 문서 약간이면 1G로도 충분합니다.
윈도우 7의 경우 최소 2기가를 셋팅아여야 원활합니다. 그래서 최소 2기가 입니다.
게임시에는 2~4기가 정도 셋팅을 하며
인코딩 렌더링 음향작업 등등 작업용 PC는 4G~8G정도로 셋팅이 가능합니다.
이렇게 사용 용도에 맞게 메모리는 셋팅을 하셔야합니다.
사용도 않하는 메모리를 많이 끼워 놓을 필요는 없습니다
메모리의 경우 PC를 부드럽게 하는 역활을 해주는 것이지 빠르게 만드는 것이 아닙니다.
모두 유의 하시길 바랍니다. ㅎㅎ
어디 메모리를 써야 좋은가요 ??
참으로 많은 외산 메모리들이 한국에 들어와 가우를 세우고 쌩쑈를 하며 폼을 잡았드랬습니다.
그러나 언제나 그랬듯이 얼마 지나면 명함도 잠시 .. 내밀까 하다 못 내밀고 쑥 하고 사라졌습니다.
외산 메모리의 경우 거의 오버용으로 많이 쓰입니다. 오버용으로 좀 들어오다 잘 않되면 판매상과
수입상도 사라지고 나중에는 수리도 않되는 경우가 허다 하였습니다.
삼성은 오버용 메모리를 판매하지 않습니다. 국내에서.. 왜냐
국내의 메모리 정확히 말하자면 해외의 모든 판매와 비교할때 극소수에 해당합니다.
국내의 판매 문제는 무엇이냐 바로 말만 많고 소비는 적다는 것입니다.
저의 경우 삼성이 좋아서 쓴다 그것도 맞는 말입니다. 삼성을 써주고 싶다. 그건 아닙니다.
하이닉스를 더 써주고 싶습니다 다만... 하이닉스의 경우 나중에 중고로 팔기가 참 힘듭니다. ㅎㅎ
해외에서 가장 반도체 메모리를 잘 만드는 회사는 삼성입니다.
그런데 왜 외산 메모리를 쓰는지 이해가 않갑니다. 수율이 좋다 성능이 좋다 더 빠륻다 그거 다 필요없습니다
1년에서 늦어도 2년이 지나면 다 소용없는 뻘짓에 해당됩니다. 새롭게 메모리가 나오면 기존보다
무려 70%정도의 성능이 올라 갑니다. 왜 오버를 해서 쓰는지 참 이해가 않 갑니다.
그리고 국내 들어온 외산 메모리는 5년 이상을 버티는 메모리는 거의 없습니다.
킹스톤 킹멕스 게일 등등 외산 메모리는 1~2년을 지나고 나면 온데 간데 없이 사라지며 수리를 받지도 못합니다.
참 어이 없는 현실입니다. 그 이유는 전세계 판매 1위 와 3~5위의 자리를 지키는 삼성과 하이닉스가 있기에
외산 메모리는 이름도 못 내밀고 사라지는 것입니다. ㅎㅎ
그러니 나중에 중고로 판매를 하고 싶은 분들은 꼭 삼성 메모리를 쓰시길 바랍니다. 또한 고장율도 낮습니다.
고장의 경우  약 600개 중에 약 한개 정도 입니다. 불량이 상당히 낮은편입니다.  
해외에서는 삼성도 3년 동안 수리를 해줍니다. 그러나 국내는 1년 반 입니다. 참 거시기 하지만
외국보다 메모리 가격이 저렴합니다. 미우나 고우나 한국의 20%의 경제를 버티고 있는 삼성이니 좀 키워 줘야 하겠죠.
하지만 재벌들이 맘에 들지는 않는군요 ㅎㅎ
음.. 하여간 메모리의 경우 저는 거의 무조건 삼성을 사용합니다.
음.. 이정도면 메모리가 무엇인지 아실거라 생각합니다.
만약 메모리가 뭐하는 거냐 물어보실게 더 있다면 아래 댓글에 물어 봐 주시길 바랍니다.
그럼 오늘 하루되 즐거운 하루 되시고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우헤헤 대마왕의 PC 이야기 입니다.
VICTREE.NET
VICTRE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