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주인장 인사 드립니다
이것 저것 하다보니 또 글이 늦었습니다
오늘의 주제는 파워 입니다.
파워서플라이란 무엇일까요
간단하게 파워라 말하겠습니다.
파워는 PC 각 부품에 전기를 넣어 주는 역활을 합니다.
대부분 파워에 대해서 신경을 많이 않 쓰시는데 보드와 파워는 정말 중요한 부품입니다.
특히 파워는 사람의 심장과 같은 부분이기 때문에 전기를 원활하게 전달해주기 위해 완성도가 우수한 파워를 쓰셔야합니다.
파워를 잘못 선택시 파워의 경우 보드나 그래픽 카드의 콘덴서를 부풀게 하는 문제를 발생시킵니다
보드쪽과 그래픽 쪽의 경우 과부하로 인해 콘덴서가 터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파워로 인해 과전류가 각 부품으로 들어가 다른 부품을 손상 시키는 경우도 있으며
과전류 차단을 못하여 누전으로 인해 부품에 잔류 전기가 많이 흘러 사용중 쇼트를 내는 경우도 있으니 좋은 파워를
선택하여 조립하시길 바랍니다.
파워의 종류 규격
모듈러파워 ATX 파워 : 전원선을 별도로 사용하는 것만 꽂아서 사용이 가능 |
일반 ATX 파워 보통 제일 많이 사용하는 파워 방식 입니다. |
미니 M-ATX 슬림 형으로 사용하는 파워 |
미니 TFX 슬림형 파워 거의 사용 하지 않음 |
파워구조
|
|
|
|
각 부 구조 명칭 기능들
각종 단자부
단자부 파워 출력의 예)
자 구조적인 설명은 다 해드린듯 합니다
파워가 전기를 모아 각 부품에 전기를 보내주는 역활을 합니다.
그럼 전기가 그냥 들어가면 되는 것이냐 그건 아닙니다.
파워에서 전기가 각 부품으로 들어갈때 갖추어야 할 조건이 있습니다
전기가 끈김 없이 정확한 양이 들어가야 하며
안정적으로 흔들림 없이 들어가야 합니다.
그래서 고가의 파워의 경우 다음과 같은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모두 믿지는 마세요 ㅎㅎ
큰 흔들림이나 출렁거림 또한 노이즈가 없어야 좋은 파워입니다.
전체적으로 최소 4만원 이상의 파워 그리고 좋은 브랜드의 파워가 좋습니다.
묻지마 파워의 경우 고장의 원인이 됩니다. 누전도 심합니다.
파워 문제시 발생되는 문제 입니다.
전력이 부족하여 다운 현상 발생
과전류나 역전류로 인한 부품 손상
보드나 그래픽 카드의 콘덴서가 터지는 현상.
부품간의 누전으로 인한 쇼트 (접지 요망)
부품 오작동.
전력 부족으로 인한 다운 후 부품 손상.
등등 많은 문제가 발생 하오니 제발 파워에 돈 좀 쓰시길 바랍니다.
뭐 파워의 경우는 비싸면 좋습니다
하지만 필요 이상의 파워는 있어야 필요가 없겠죠
보통 450~600 와트 사이를 권장합니다.
좋은 파워는 강한 심장입니다.
오늘도 여기서 마감하겠습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우헤헤 대마왕의 PC 이야기 입니다.
VICTREE.NET
VICTREE.CO.KR
(컴퓨터 - PC 조립 강좌)
'PC 이야기 > PC 조립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33장 케이스에 대하여 깡통. (컴퓨터 조립 - PC 조립 강좌) (0) | 2010.05.30 |
---|---|
제 32장 AMD 프로푸스 630 조립기 (컴퓨터 조립 - PC 조립 강좌) (0) | 2010.05.30 |
제 30장 SSD 새로운 자료 저장 장치. (컴퓨터 조립 - PC 조립 강좌) (0) | 2010.05.30 |
제 29장 HDD 기억 저장장치. (컴퓨터 조립 - PC 조립 강좌) (0) | 2010.05.30 |
제 28장. 쉬어가는 페이지 CPU AND VGA 비교 궁금해 하실것 같아 올립니다 (컴퓨터 조립 - PC 조립 강좌) (0) | 2010.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