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우헤헤 대마왕 인사 드립니다
오늘도 역시나 한가지의 주제 : 깡통 케이스 를 가지고 주물 주물 주물러 보겠습니다
그럼 케이스가 하는 일은 무엇이냐?
원래는 케이스가 하는 일은 클수도 있고 작을수도 있습니다.
한가지 말씀 드린다면 케이스가 좋다고 해서 기본적으로 PC의 성능이 좋아지는 것은 아닙니다.
케이스가 필요한 이유는 여러 부품을 안전하게 깔끔하게 정리 해주는 기능을 하기 때문입니다.
부품을 단단히 고정하고 정리해주는 부품입니다. 그런데 왜 여기에 돈을 많이 쓰냐.
솔직히 케이스가 없이도 PC를 쓸수있지만 외부적인 충격이나 정리 차원에서 케이스에 조립을 하게됩니다.
그냥 저가형을 써도 되는데 돈 많이 들여서 비싼 케이스를 쓰느냐에 대해 매우 궁금하실겁니다.
뭐 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고 하더군요. 맨날 보는 놈이라 모양과 기능이 좋으면 당연히 좋다고 봅니다
그럼 케이스의 종류를 알아 보겠습니다
빅타워 케이스
미들 타워 케이스
미니 타워 케이스
준 미니 케이스
초슬림 케이스
베어본 케이스
사용 용도가 무엇이냐에 따라 구조가 달라집니다.
슬림용
사용용도가 문서작업 문서작업 동영상 감상 정도면 슬림을 쓰셔도됩니다
전에 슬림을 쓰면 열이 많이 난다는 속설을 가지고 있지만 현재의 신형 PC사양의 경우 발열량이 상당히 줄어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또한 슬림을 고르실때 케이스에 쿨러를 잘 확인하시고 방열이 잘 되는지 본후 고르시면 됩니다.
시디롬은 1개 하드는 초슬림의 경우 1개 일반 슬림의 경우 1~2 개가 가능하니 하드를 여러개 달아야 할 경우는 피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슬림의 경우 파워나 보드의 경우 상당히 조립시 문제가 많으며 부품을 다양하게 쓸수 없으니 잘 선택하셔야 합니다.
일반형.
다양한 용도의 조립에 쓰이며 가장 많이 쓰는 케이스 입니다
일반형 케이스의 경우 많은 용도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평균적으로 하드는 1~5개 시디롬은 1~4 정도 입니다.
파워나 보드등 여러 부품을 다양하게 조립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하드를 4개 이상 조립할 경우는 빅 타워 쪽으로
조립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드가 5개 이상 그래픽 카드가 2장이상 조립되는 경우 일반형 케이스도 가능하지만
빅타워나 빅타워와 미들 케이스 중간형으로 교체 하여 조립하셔야 합니다.
빅타워
고사양이나 또는 특정 사용 용도의 PC를 조립하거나 또는 서버나 워크스테이션이 조립할 경우 많이 쓰입니다
보드의 크기가 일반형 케이스에 않 들어갈 정도의 서버 보드들이 많아 빅타워를 쓰게 됩니다
또는 하드는 많이 조립해야 할경우 빅타워의 경우 하드 갯수가 10개 정도 조립이 가능하며
파워가 부족할시 케이스에 파워가 2개도 조립가능한 케이스들이 있습니다.
또한 그래픽 카드를 1~4개 또는 6개 정도가 들어가는 보드를 사용시 빅타워를 쓰게 됩니다.
많이 쓰이지는 않지만 여러 많은 부품을 조립시 공간 활용이 용의해 쓰이게 됩니다.
미니 미들
미니 미들의 경우 작고 이쁜걸 선호 하시고 일반적을 조립이 편하게 할때 사용 합니다.
거의 사용하지 않는 케이스라 별 말씀 드릴것이 없습니다.
베어본
베어본의 경우 케이스 파워 보드가 일체형으로 나오는 사양을 말합니다
베어본의 경우 작고 이쁘게 거실에서 인터넷이나 LCD TV 와연결해 사용할때 많이 사용합니다
초슬림과 거의 같은 기준에서 조립을 하게 되는데 베어본의 경우 초슬림과 다른 것이
케이스 보드 파워가 같이 조립되 판매되며 사양에 따라 보드에 시피유가 붙어있는 아톰과 같은
초저 사양 베어본들이 꽤 많은 편입니다. 베어본의 경우 저는 거의 판매를 하지 않습니다.
그냥 이쁠뿐 실용적이지 않습니다. 또한 베어본의 경우 수입상들이 판매한후 자주 망하여 차후에
수리가 힘든 경우가 많았습니다 유의 하시고 조립해 쓰시길 바랍니다.
케이스의 쿨링
공냉형 수냉형 유냉형 냉각형 의 여러 방식이 있습니다.
가장 많이 쓰는 방식은 역시 공냉입니다.
케이스 팬의 경우 여러 위치에 달려 있습니다 케이스 위쪽 뒷쪽 앞족 케이스 옆문쪽 등 많은 곳에 장착됩니다
케이스 쿨러가 많은 경우 케이스 내부의 열을 잘 배출해 주어 좋을수 있지만 문제는 소음이 많습니다
그래하여 저소음용 쿨러들이 나와있습니다. 유체 베어링이나 또는 자기 베어링들이 나옵니다.
쿨링의 경우 차후 다시 이야기를 해드리겠습니다.
케이스의 가격 차이에 따른 구조
케이스의 가격차이는 여러 요인이 있습니다
케이스의 두께 내부 구조 케이스의 크기나 모양 LCD창 여부 쿨러의 갯수 등 여러 이유가 있으며
케이스의 두께, 크기, 제질 등으로 인해 가격이 올라갑니다
또한 케이스 내부에 별도의 편의 시설로 인해 가격이 올라 가기도 합니다.
케이스의 경우 컴퓨터의 성능과 관련이 없는 부품이기는 하나 오래 자주 보는 부품이며
좋은 케이스의 경우 공진 누전 소음을 줄여줍니다 또한 차후의 업글이나 부품의 조립시 원활한 조립이 가능하게
해주는 부품이며 열을 잘 관리해주는 부품이니 언제나 너무 저렴한 케이스 보다는 정적한 가격대에서
단단하고 열을 잘 배출고 마감이 잘 된 완성도 좋은 케이스를 쓰시길 바랍니다.
이리하여 케이스에 대한 이야기를 마칠까 합니다.
많이 중요한 부품은 아니지만 그래도 미적 기준에 맞춰서 보기 좋은 케이스를 골라 조립하시길 바랍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질문이 있으시면 댓글 달아 주세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
우헤헤 대마왕의 PC 이야기 입니다.
VICTREE.NET
VICTREE.CO.KR
(컴퓨터 - PC 조립 강좌)
'PC 이야기 > PC 조립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35장 시스템의 쿨링.. 시원하게 해주마 ㅎㅎ (컴퓨터 조립 - PC 조립 강좌) (0) | 2010.05.30 |
---|---|
제 34장 모니터 LCD (컴퓨터 조립 - PC 조립 강좌) (0) | 2010.05.30 |
제 32장 AMD 프로푸스 630 조립기 (컴퓨터 조립 - PC 조립 강좌) (0) | 2010.05.30 |
제 31장 파워 power supply 란 무엇일까요 ㅎㅎ (컴퓨터 조립 - PC 조립 강좌) (0) | 2010.05.30 |
제 30장 SSD 새로운 자료 저장 장치. (컴퓨터 조립 - PC 조립 강좌) (0) | 2010.05.30 |